사회 사회일반

법원, "기아차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 맞아...4223억원 지급해야"




법원, 법원, "기아차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 맞아...4223억원 지급해야"


기아자동차 근로자들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해 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31일 서울중앙지법 민사41부(재판장 권혁중)는 기아차 노동자 2만7424명이 회사를 상대로 2008년~2011년 주지 않은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 등을 달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하면서 “기아차의 정기상여금과 중식대는 정기적·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으로서 통상임금”이라며 “피고(기아차)는 원고에게 상여금, 식대를 통상임금에 포함해 재산정한 연장근로수당 등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판결에서 법원은 노동자들이 요구한 1조926억원(이자 4338억원이 포함) 중 4223억원(이자 1097억원 포함)을 지급하라고 밝혔는데, “노사 합의로 임금이 결정된 만큼 이제 와 통상임금을 달라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신의칙)을 위반한다”는 회사 쪽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재판부는 판결에서 “원고들은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인정되는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고, 과거의 연장·야간·휴일근로로 생산한 부분의 이득은 이미 피고가 향유했다”면서 “중대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기아차나 산업계의 주장에 대해서는 “피고는 2008년부터 매년 상당한 당기순이익을 거두어 재정 및 경영상태와 매출실적 등이 나쁘지 않다”며 “원고들이 마땅히 받았어야 할 임금을 이제야 지급하는 것을 두고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된다는 점에만 주목해 경제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고 관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그동안 신의칙은 통상임금 소송에서 기업 쪽의 주요 반박 논리로 활용되어 왔는데, 통상임금의 150%를 주는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은 근로기준법에 정해져 있어 회사가 반드시 줘야 하는 임금이지만, 2013년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상훈 대법관)가 “사용자에게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재정적 부담을 지워 중대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초래하거나 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한다면 신의칙에 위배되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단하면서 대법원이 인정한 ‘신의칙’ 때문에 통상임금 소송의 희비가 엇갈려 온 바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김경민 기자 kkm2619@sedaily.com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