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코스피 상장사 71% 지배구조 취약...‘신한지주’ 가장 우수

코스피 상장사 10곳 중 7곳꼴로 기업 지배구조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올해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평가 체계를 도입한 지 15년 만에 최우수 등급 기업이 나오고, 지난해 대비 지배구조가 양호한 기업 비율도 높아졌다.

31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코스피 상장사 733곳의 환경경영(E), 사회책임경영(S), 지배구조(G) 현황을 평가한 결과 지배구조(G) 부문에서 취약 수준인 B등급 이하를 받은 기업이 무려 71.1%(521개사로)에 달했다.


평가 결과는 부문별로 S부터 D까지 모두 7개 등급으로 매기는데, B등급 이하는 이사회 견제 시스템과 감사기구의 독립성이 비교적 미흡하고 주주권리 보호나 경영정보 공개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은 기업이다. 지배구조 부문에서 B등급을 받은 기업은 349개사였고 C등급은 156개사, D등급은 16개사였다. 가장 취약한 D등급은 국도화학(007690), 오뚜기(007310), 우리들제약(004720), 한미사이언스(008930), KGP(109070), KPX그린케미칼(083420) 등 16곳에 부여됐다.

관련기사



반면 지배구조가 양호한 편인 B+ 이상을 받은 기업은 212개사로 집계됐다. 전체의 28.9%로 지난해(22.7%) 대비 소폭 상승했다. 특히 신한지주(055550)가 최상위인 S등급을 받았다. 2003년부터 시작된 이 평가에서 S등급 기업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034730)와 에쓰오일, 풀무원(017810) 등 3개사가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인 A+를 받았고 포스코와 두산(000150) KB금융(105560), 한화(000880), KT(030200), 한국금융지주(071050) 등 53곳은 A등급에 속했다. 윤진수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사업본부장은 “올해 A등급 기준을 올리고 A등급 기업 중 정성평가 결과가 우수한 회사에만 S와 A+를 부여했다”며 “신한지주는 다른 금융회사보다 낙하산 인사 등의 우려가 적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환경경영과 사회책임경영, 지배구조 등 3개 부문 평가를 종합한 ESG 통합등급에서는 B+ 이상이 22.1%(162개사), B 이하는 77.9%(572개사)였다. 통합등급에서는 S등급 기업이 나오지 않았고 신한지주와 SK, 에쓰오일, 삼성전기(009150), 풀무원 등 5곳이 A+를 받았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