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당하기 전에 먼저 친다"…美 타이어원료 반덤핑 조사

'美 통상법 301조' 겨냥 선제조치

美는 중국기업 해외 뇌물혐의 조사

G2 팽팽한 신경전…무역전쟁 조짐

중국이 미국에서 수입하는 타이어 원료에 대해 반덤핑 조사에 나섰다. 중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통상법 301조 적용 움직임에 대응해 중국이 선제적인 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미국은 중국 국유기업의 해외 뇌물 혐의를 조사하고 나서는 등 양국이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며 무역전쟁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31일 웹사이트에 올린 공고를 통해 자국 업체들의 반덤핑 조사 요청을 받아들여 미국과 유럽연합(EU), 싱가포르 등 3개 지역에서 수입되는 수소첨가 부틸 고무(HBR)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이날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HBR는 자동차용 타이어와 컨베이어 벨트 등에 주로 사용되는 원료다. 중국은 지난해 미국에서 HBR 제품 1억5,000만달러어치를 수입했고 EU와 싱가포르에서는 각각 1억달러, 9,300만달러어치를 들여왔다.


상무부는 “저장신회신재료·반금화운신재료 등 2개사가 3개국에서 생산된 HBR 제품이 정상보다 낮은 가격으로 중국에 수입됐다며 업계를 대표해 반덤핑 조사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당국의 조사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수입된 물량을 대상으로 하며 내년 8월까지 1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상무부는 추가 상황이 발생하면 오는 2019년 2월까지 조사를 연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HBR 제품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앞서 통상법 301조를 근거로 미국 정부가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 등 부당 관행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을 염두에 둔 대응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조사에 대해 “미국의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행태에 불만을 표시한다”며 “적절한 조치를 통해 합법적인 권익을 지킬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8월18일부터 미국과 일본산 광섬유 모재에 부과했던 반덤핑 관세 조치 연장을 위한 조사에도 돌입한 상태다.

한편 미국도 중국 기업을 다각도로 옥죄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31일 미 법무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이 나이지리아 정부 관리들에게 1억달러의 뇌물을 제공한 혐의를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노펙은 나이지리아 석유개발 사업을 둘러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자회사인 아닥스페트롤리엄의 자금을 나이지리아로 송금한 의혹을 받고 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