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차기 손보협회장에 강영구·지대섭·허창언 물망

"민 출신이냐 관 출신이냐" 관심

결과 따라선 타 업권에도 영향





차기 손해보험협회장에 강영구 메리츠화재 사장과 나명현 전 현대해상 상근감사, 지대섭 화재보험협회 이사장, 허창언 금융보안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삼성화재 출신인 지 이사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관 출신인 금융감독원 출신이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손보협회는 이날 임기 만료되는 장남식 손보협회장 후임 선출을 위한 공식 절차를 오는 9월 5일 시작한다. 금융협회장 가운데 가장 먼저 후임 인선 절차가 시작되는 손보협회장 결과에 따라 임기 만료를 앞둔 다른 금융협회장 인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손보협회는 5일 이사회를 열어 차기 회장 후보 선출을 위한 회장추천위원회 구성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회추위는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보·한화손보·흥국화재·서울보증 등 현 이사회 멤버인 6개사 사장과 보험 학회장 등 외부 인사 2명 등으로 구성된다. 이후 후속 절차가 지연 없이 진행된다면 차기 회장을 선출하는 협회 총회는 10월 중순께 개최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민·관 출신 인사 중 어느 쪽이 선출될지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장 회장 선임 당시에는 세월호 참사 이후 ‘관피아 낙하산’ 반대 여론이 강해 손보협회장을 포함해 모든 금융협회장이 민간 출신으로 채워졌다. 일부에서는 한번 민간 출신 인사가 협회장을 맡았는데 다시 관 출신 인사로 되돌아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겠느냐며 민간 출신이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첫 금융협회장 인선인데다 보은 인사에 대한 수요도 많아 관 출신 인사가 유리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손보 업계 내부에서도 당국과 적극 교감할 수 있는 비중 있는 인사라면 관 출신이라고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관 출신 인사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더구나 자동차보험료 인하 압박 등 손보 업계의 실적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이 잇따라 추진되면서 업계 목소리를 강력하게 전달하는 힘 있는 협회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익명을 원한 금융 업계 관계자는 “민간 출신 협회장의 경우 당국에 할 말을 제대로 못하는 한계가 없지 않다”며 “업계의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할 수 있다면 관 출신이라고 해서 무조건 반대하는 분위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과거 같으면 차기 회장 선임 계획이 세워지면 유력한 후보가 금방 드러났는데 이번에는 “그런 분위기는 아니다”라는 얘기가 나온다. 청와대의 인사스크린이 늦어지면서 손보협회장 인선이 당분간 안갯속 국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