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로 뛰는 채소 가격에 8월 소비자물가가 5년여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국민들의 소득도 9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2.6% 올랐다. 2012년 4월 2.6% 오른 후 가장 큰 상승률이다.
채소 가격이 많이 오른 영향이 컸다. 8월 채소 가격은 22.5% 폭등했는데 7월 증가율(10.1%)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1년 전과 비교해 양배추가 100.6%나 가격이 뛰었고 상추(72.4%), 무(71.4%), 양파(36.5%) 등의 상승도 두드러졌다.
정부는 지난달 초 8월 중순 이후에는 채소의 출하물량 작황 양호 등으로 수급 여건이 개선돼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폭우 등 기상 여건 악화 때문에 채소 가격은 7월보다 더 비싸졌다.
그간 안정세에 있던 석유류 값이 다시 고개를 든 점도 눈에 띈다. 석유류는 7월 0.5% 상승했으나 8월에는 3.6%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최근 미국의 원유생산 증가 등으로 국제 유가가 조정될 움직임이 일어서다. 먹거리·연료에 전월세 가격까지 실생활과 밀접한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면서 8월 생활물가지수도 1년 전보다 3.7% 높아졌다. 이 정도 상승한 전례를 찾으려면 2011년 12월(4.4%)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국민들의 지갑은 얇아졌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2017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지난 2·4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전 분기보다 0.6% 감소해 9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감소폭도 2010년 3·4분기(-1.7%) 이후 가장 컸다. GNI는 임금·이자·배당 등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모두 합친 것으로 우리 국민들의 실제 구매력을 보여준다.
한국은행은 2·4분기 국민소득이 줄어든 것은 국내 기업이 외국인에 지급한 배당금 규모가 확대된 탓 등이 크다고 설명했지만 물가 상승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구나 6월 이후에는 물가가 더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에 3·4분기 국민소득은 더 쪼그라들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세종=서민준기자 빈난새기자 morandol@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