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여행수지 적자 역대 최대, 경상수지는 '65개월' 연속 흑자

지난 7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가 72억6000만달러를 기록하며 65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계속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7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를 합산한 경상수지는 72억6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로써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65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7월 경상흑자 규모는 지난 6월(70억1000만달러)에 비해서는 늘었지만 전년동월(84억1000만달러)에 비해서는 13.6% 줄었다.

전년동월대비 흑자폭이 줄어든 것은 여행수지 등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상품수지는 107억1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년동월(106억7000만 달러)에 비해 흑자 폭이 소폭 늘었다.

수출과 수입이 모두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지만 수입 증가폭이 수출 증가폭보다 더 큰 것을 알려졌다. 수출은 472억1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1.4% 증가했고, 수입은 365억 달러로 15.2% 증가했다.


품목별 수출액(통관기준)을 보면 반도체가 81억1000만 달러로 60.9% 급증했고, 선박이 60억1000만 달러로 219% 늘었다. 반면 정보통신기기와 가전제품이 각각 16.4%, 19.2% 줄었다.

관련기사



품목별 수입액(통관기준)을 보면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각각 10.7%, 19.3%, 21.8%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32억9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지난 6월(28억1000만달러 적자)이나 지난해 7월(15억8000만달러 적자)에 비해 적자 폭이 증가했다. 이는 역대 2위 적자 규모다. 가장 많았던 것은 지난 1월 33억6000만달러 적자로 알려졌다.

특히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 규모는 17억9000만달러로 역대 최대 적자를 보였다. 종전 최대 규모였던 지난 2008년 7월 16억5000만달러 적자 기록을 훌쩍 넘어섰다.

출국자수는 238만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5% 늘어났지만 입국자수가 100만9000명으로 40.8%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 입국자가 28만1000명으로 69.3%나 줄었다.

한편 경상수지는 상품과 서비스 등을 사고 팔아 벌어들인 외화(수출)와 지급한 외화(수입)의 차이를 의미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 4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