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국의 프라이탁 키우자"...서울 새활용플라자 오픈



버려진 방수천으로 가방을 만들어 연 수백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스위스 브랜드 ‘프라이탁’ 같은 업사이클링(새활용) 업체가 곧 국내에도 생겨날 전망이다.

서울시는 ‘프라이탁’ 같은 새활용 업체를 육성하고자 성동구 용답동에 ‘새활용플라자(사진)’를 개관했다고 5일 밝혔다.

새활용이란 단순 재활용을 넘어 버려질 자원에 디자인을 입혀 새로운 가치를 지닌 상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뜻한다. 유럽 등 해외에서는 지난 1990년부터 이미 각광받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했고 국내에서도 꾸준히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지하 2층~지상 5층 규모로 새롭게 문을 연 센터에서는 새활용 재료 기증, 수거, 가공, 제품 생산, 판매까지 원스톱으로 이뤄진다.

관련기사



1층에는 예비 창업자가 아이디어를 시제품으로 구현하는 제작 실험실인 ‘꿈꾸는 공장’이 올 연말 들어선다. 이곳은 절단·연마·가공기, 3D 프린터 등의 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지하 1층에는 새활용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구할 수 있는 ‘소재 은행’과 중고 물품을 재분류·세척·가공하는 ‘재사용 작업장’을 조성한다. 소재은행은 폐원단·폐금속·폐가죽 등의 원재료를 찾거나 기증받아 보관하고 있다가 업체나 개인에게 판매하는 곳이다. 부피가 큰 재료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직접 연결해주는 방식으로도 운영한다.

건물 3∼4층에는 32개 업체와 개별 공방이 입주한다. 이들 업체가 만든 새활용 제품은 2층에 마련된 ‘새활용 상점’에서 살 수 있다. 입주 업체로는 폐자전거 부품으로 조명기기 등 인테리어 제품을 만드는 ‘리브리스’, 폐자동차 가죽으로 지갑 등 패션 제품을 만드는 ‘모어댄’, 버려진 우산 원단으로 손지갑 등 잡화를 만드는 ‘큐클리프’ 등이 있다. 시는 “이들 32개 업체와 예비 창업자는 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새활용플라자 개관을 시작으로 서울하수도과학관, 중랑물재생센터, 장안평 중고차매매시장 등이 자리한 이 일대를 국내 최대의 새활용·자원 순환 에코 타운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