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신고리공론화위, 제3의 검증기구 구성… “신뢰성 제고”

“공론화위에 다양한 의견 반영하고자 ‘검증위’ 구성”

1차 전화조사, 목표치 71.9% 응답… 10일 마무리

3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이희진 공론화위원회 대변인이 ‘신고리 5ㆍ6호기 공론화위원회’ 제7차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3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이희진 공론화위원회 대변인이 ‘신고리 5ㆍ6호기 공론화위원회’ 제7차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6일 공론화 과정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제3의 독립된 기구인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검증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공론화위는 이날 8차 회의 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희진 대변인은 “제3의 기구를 선정해서 공론화위가 평가도 받고 여러 가지 의견을 반영하고자 한다”며 “앞으로 숙의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남은 절차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을 수렴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공론화위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영구 중단할지 재개할지를 묻는 1차 전화조사에 현재까지 목표치 2만명의 71.9%인 1만 4,379명이 응답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25일 시작한 1차 조사는 10일께 마무리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1차 전화조사에서 시민들에게 시민참여단에 참여할지 여부를 묻고 있다. 이윤석 대변인은 “현재 500명이 훨씬 넘는 응답자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면서 “참여자가 많을수록 대표성이 높아지기에 ‘참여 의사가 없다’고 응답하신 분들에게도 다시 참가 의사를 확인하는 전화를 걸기로 했다”고 참여를 재차 독려했다.

관련기사



특히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 500명 추출 과정에서 원전 지역주민에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기로 했다.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 구성의 핵심은 대표성”이라며 “원전 지역 등 특정 지역에 가중치를 부여하면 ‘국민 대표성’이 무너져 조사결과의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고 강조했다.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 구성에서 지역주민에 가중치를 주지 않는 대신 간담회, 시민참여단 합숙토론 등을 통해 지역 관계자가 충분히 입장을 전달할 시간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민참여단은 오는 16일 천안에서 공론화위 오리엔테이션에 참여하고, 한 달 동안 자료집·이러닝·전용 토론방 등을 통해 온·오프라인으로 5·6호기 건설중단과 건설재개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받은 뒤 10월 13일부터 2박 3일간 합숙토론에 들어간다.

공론화위는 오리엔테이션에서 2차 조사, 합숙 첫날 3차 조사, 마지막 날 4차 조사를 하고 이를 토대로 10월 20일 5·6호기 공사중단 또는 공사재개에 대한 응답 비율을 포함한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한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