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100대 그룹 오너 일가, 입사 후 4년 만에 임원 승진

오너 일가, 평균 29.7세 입사해 33.7세 임원

일반 직원보다 17.5년 빨라…평균 입사 4년

부모 세대 대비 자녀 세대 임원 승진 연차 줄어

[앵커]

국내 100대 그룹의 오너 일가는 입사 후 평균 4년 만에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재벌 오너 일가의 초고속 승진이 3~4세대로 갈수록 더욱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오너 일가가 입사 후 임원에 오르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4.2년.

100대 그룹 가운데 오너 일가가 임원으로 근무 중인 77개 그룹 185명의 승진 현황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평균 29.7세에 입사해 33.7세에 임원 직함을 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30대 그룹 일반직원의 임원 승진 평균 나이 51세에 비해 무려 17년 이상 빠릅니다.

특히, 재벌가 ‘초고속 승진’은 후대로 갈수록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 2세대에 해당하는 부모 세대는 평균 30.1세에 입사해 4.7년 후 임원으로 승진한 데 비해 3, 4세대로 분류되는 자녀 세대는 29.9세에 입사해 33세에 임원이 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CG/


입사 후 사장이 되는 시점도 부모세대보다 자녀세대가 짧았습니다.

관련기사



/부모세대는 입사 후 평균 13.5년 후인 43.3세에 사장단에 오른 반면 자녀세대는 불과 12.5년 만인 40.4세에 사장단으로 승진했습니다 CG/

이런 경향은 그룹 규모가 작을수록 더 두드러졌습니다.

그룹 규모별로는 30대 그룹 오너 일가의 임원 승진기간은 5년, 하위 70개 그룹은 3.4년으로 더 짧았습니다.

한편, 경력이 없어도 입사와 동시에 임원이 된 오너 일가는 22명.

전체의 11.9%에 달해, 10명 중 1명은 입사와 동시에 임원이 됐습니다.

대표적으로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 신세계 이명희 회장, 허진수 SPC 부사장 등입니다.

반면, 임원 승진까지 10년 이상 걸린 경우는 23명.

입사 18.3년만에 임원으로 승진한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과 구자엽 LS전선 회장(16.6년), 구자용 LS네트웍스 회장(16.0년) 등입니다./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김지현]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