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 추가배치 후폭풍] 관광업계 "한국행 상품 감시 강화"...엔터사는 "中시장 더이상 희망 없다"

■여행사·한류도 공포 확산

"韓서 명품 사오면 세무조사"

中, 자국민 대상 엄포 가능성

북한의 잇단 도발로 문재인 정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추가 배치를 강행하면서 관광 업계에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다. “사드 후폭풍으로 이미 손해를 볼 만큼 봤다”는 자조 섞인 항변을 내놓으면서도 중국 정부의 추가적인 보복 조치로 또다시 관광객 감소의 직격탄을 맞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관광 업계의 한 관계자는 8일 “최근 안보 정세가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오히려 중국 정부는 한국행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여행사들의 상품판매 금지 여부를 더 엄격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현지 여행사들에 ‘한국을 대상으로 한 단체상품을 판매하지 말라’는 비공식 지침을 하달하면서 국내 중국 전담 여행사들의 90% 이상은 휴업 중이거나 폐업한 상태다. 이에 따라 7월 기준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숫자도 28만여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9.3%나 급락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위기가 최고조로 치달으면서 일본은 물론 동남아 국가의 관광객마저 눈에 띄는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같은 기간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관광객은 각각 39.4%, 45.2% 감소했으며 일본 관광객도 8.4% 빠졌다.

관련기사



한국 정부의 사드 추가 배치로 인한 중국 측의 보복 확대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남조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중국 정부가 개별 관광객(FIT)의 한국 여행까지 노골적으로 금지하는 방식을 취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한국에서 명품을 잔뜩 사오는 ‘큰손’들을 대상으로 세관검사를 강화하거나 세무조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자국민들에게 엄포를 놓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류 비즈니스 관련 업계도 울상이기는 마찬가지다. 황지선 마운틴무브먼트 대표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앞으로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금은 있었지만 사드 배치로 이제 그마저도 사라진 것 같다”면서 “그저 지켜볼 뿐이지만 중국 시장에 대한 희망이 희미해져간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엔터테인먼트사 관계자는 “중국 시장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면서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나윤석·연승기자 nagija@sedaily.com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