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중한 비행 스케줄로 숨진 항공사 사무장 '업무상 재해' 인정



과중한 비행 스케줄에 시달리다 숨진 항공사 사무장에게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4부(김정중 부장판사)는 10일 숨진 항공사 사무장 A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달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A씨가 그동안 과중한 업무에 따른 과로와 스트레스로 평소 앓고 있던 고혈압이 악화해 사망하게 됐다며 유족의 손을 들어줬다.

관련기사



숨진 사무장은 월평균 비행시간이 사망 전해인 2015년 109시간 21분이었지만, 사망 전 3개월간은 약 114시간으로 늘어났다. 숨지기 석 달 전인 10월 경우 근무시간이 123시간을 넘어서기도 했다. 재판부는 “A씨는 사망 전 3개월간 평소보다 늘어난 비행근무를 했다”며 “이는 (소속) 항공사 전체 승무원 평균 비행시간보다 많고, 장거리·야간 비행 등으로 업무 부담이 가중됐다”고 말했다.

그의 사망에는 과도한 신체적 무리가 따르는 업무 패턴도 한몫 했다고 지적했다. 그의 2015년 월평균 비행근무 시간은 109시간 21분, 총 비행횟수는 248회였다. 이 가운데 4시간 이상 비행은 86회, 야간 비행은 79회였다. 그는 사망 직전인 지난해 1월 2일 인천에서 말레이시아로 5시 30분간, 이틀 뒤인 4일에는 인천으로 돌아오는 4시간 50분간 야간 비행을 했다. 그는 귀국 이틀 후인 6일 독일행 비행을 위해 본사로 출근했지만, 주차장에 세워진 자신의 승용차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재판부는 “국제선 장거리 비행을 하는 경우 불과 며칠 사이에 밤낮이나 계절이 바뀌는 등 신체가 적응할 새도 없이 생활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며 “객지에서 1∼2일의 휴식시간은 건강상태에 따라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