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세점 업계 임원들은 최근 한 회의에서 ‘대규모 구조조정’ 이야기를 첫 언급했다. 한 면세업체 임원은 “상황이 이대로 흘러갈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 하다”며 “특허 갱신 대상 조정, 특허 기간 연장, 특허수수료 조정, 공항 임대료 인하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고 말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기약 없이 장기화 될 조짐을 보이면서 특히 면세점 업계가 사상 최악의 구조조정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면세점 특혜 수사에다 유커 감소로 실적이 크게 악화 된 가운데 사드 보복 장기화 라는 악재까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현재 면세업계는 실적 감소를 견디지 못해 △인력 ·사업 구조조정 △ 임대로 감액 소송 및 공정위 제소 △ 공항면세점 철수 추진 등을 추진하고 있다.
면세업계 고위 관계자는 “외환위기 이후 면세업계 구조조정으로 인해 17개 면세점이 사라졌다”며 “이번에도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현재 50여 개 면세점 가운데 10여 개가 문을 닫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가 위기 국면인 만큼 정부가 면세점 임대료 하향 조정 등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선 롯데면세점은 다음 달을 분수령으로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임대료 인하를 위한 협상 테이블이 조성되지 않을 경우 전면 철수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조 단위로 치솟을 임대료를 고려하면 차라리 하루라도 빨리 발을 빼는 게 낫다는 입장이다.
현재 인천국제공항 롯데면세점에서 일하는 인력은 롯데면세점 직영 사원 120여 명과 판촉 사원을 합쳐 총 1,500여 명에 이른다. 롯데면세점 철수로 입점·납품 업체 직원들까지 도미노로 실직 사태를 맞게 되면 이는 곧 면세업계 전체의 본격 구조조정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매일 적자를 보는 상황에서 하루라도 빨리 협상 테이블을 만들지 않으면 철수하는 수밖에 없다”며 “국가 정책 때문에 기업이 타격을 입은 경우인데 우리가 기부업체는 아니지 않느냐”고 답답해 했다. 또 다른 면세점 관계자는 “롯데면세점이 만약 철수하게 되면 천문학적인 임대료를 고려할 때 그 자리는 해외 면세점 외에 아무도 들어가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 여파로 구조조정 위기에 흔들리는 면세점은 비단 롯데면세점뿐이 아니다. 한화갤러리아 역시 지난달 말 제주국제공항 면세점 특허권을 반납한 것을 계기로 지난 1일 면세사업본부 조직을 시내면세점 단일 체제로 축소했다. 관련 인력도 200여 명에서 120여 명으로 대폭 감원했다. ‘최초 심야 면세점’을 타이틀로 달고 출발한 두타면세점도 최근 이를 포기하고 영업종료시간을 앞당겼으며, 영업층수도 9개층에서 7개층으로 줄였다. SM면세점 또한 당초 6개층에서 2개 층을 최근 비웠다.
중소·중견 면세점들은 아예 사업 자체를 접을 상황에 몰렸다. 삼익면세점은 최근 인천국제공항공사를 상대로 임대료 감액 청구 소송을 제기했으며, 김포공항의 면세사업자 시티플러스는 항공편 증편 등 계약 당시 상업성을 부풀렸다며 한국공항공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급기야 면세업계 임원들이 정부에 상황이 이대로 흘러갈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는 입장를 전달하기도 했다. 한국면세점협회 관계자는 “면세점은 권리금 개념이 없어 투자비용이 모두 매몰비용이 되다 보니 현재와 같은 상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공항 같은 경우 지금과 같은 임대료 구조로는 전혀 수익이 날 수 없는 상태”라고 걱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