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수술 하면 장기생존율 높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는?

채병주·유태경 서울성모병원 교수팀

예측 모델 개발…3점 이하면 3년 생존율 87%

채병주(왼쪽)·유태경 서울성모병원 유방외과 교수채병주(왼쪽)·유태경 서울성모병원 유방외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완치가 어려운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생존율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수술을 하려면 항암치료를 멈춰야 하므로 장기 생존 가능성이 큰 환자를 사전에 정확하게 선별하는 게 중요하다.

12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채병주·유태경 유방암센터 유방외과 교수팀은 1990~2014년 한국유방암학회 유방암등록사업에 등록된 2,232명 중 수술로 장기 생존한 환자의 특징을 분석해 수술 후 생존율 예측 모델을 도출했다.


4기 유방암으로 알려진 전이성 유방암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56.4%, 환자 100명의 생존기간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인 50번째 환자의 생존기간(중앙생존기간)은 44개월이었다. 3년 생존율은 1990년대 38.7%, 2000~2004년 50.5%, 2005~2009년 57.3%, 2010~2014년 70.1%로 꾸준히 높아졌다.

관련기사



2,232명 중 69%는 유방 및 겨드랑이(액와부) 수술을, 4.6%(103명)는 부분 수술을 받았지만 26.3%(588명)는 수술을 받지 않았다. 유방 및 겨드랑이 수술을 받은 환자의 3년 생존율은 62.6%였다. 중앙생존기간은 53개월로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31개월)보다 길었다.

전이성 유방암 수술 환자들의 수술 후 예후는 유방 종양의 크기, 암세포의 분화도와 림프·혈관 침범 여부 등과 상관성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위험인자들로 위험률을 계산해 수술 받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 예측 생존점수(0~10점)에 따라 환자를 4개 그룹으로 분류해 예측 모델을 적용한 결과 위험률 점수가 0~3점으로 낮은 그룹은 3년 생존율이 87.3%로 전체 환자의 56.4%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방암 연구와 치료’(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6월호에 실렸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