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슈뢰더 "미·중·러, 대북 공동압박 전략 펼쳐야”

자서전 번역본 출간 기자간담서 주장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는 12일 북핵 문제 해결 방식에 대해 “주변의 3대 강대국인 미국·중국·러시아가 공동 압박전략을 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슈뢰더 전 총리는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자서전 번역본 출판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은 명백한 범죄정권”이라며 “민족을 희생물로 삼아 핵무기를 계속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상황을 저지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슈뢰더 전 총리는 미·중·러 3국의 공동전략을 펴기 위해서는 미국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중국에 경제 압박을 가하면서 러시아를 고립시키는 정책을 펴면서 그들과 파트너가 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슈뢰더 전 총리는 북한이 대화를 거부하는 상황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동독은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냉전 시기에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었고 능력도 있었다”며 “그래서 빌리 브란트 전 서독 총리의 통일정책이 가능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반면 “북한은 대화 능력이 없는 것을 차치하더라도 계속 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미국·중국·러시아가 공동전략을 펴는 가운데 남한은 조건만 만들어지면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월드클래스300 기업 CEO 아카데미’에 참석해 “덩치는 작더라도 연구개발(R&D)에 집중하고 투자를 많이 하는 중소기업이 늘어야 한국 경제도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영어로 ‘저먼 미텔슈탄트’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독일은 중소기업 육성이 잘 된 나라”라고 소개한 뒤 “한국도 월드클래스300 등 뛰어난 기업이 미래를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한국 정부가 대기업 위주 성장 정책을 편 것은 성공적이지만 지금은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시대가 변했다”며 “국가가 중소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돕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덧붙였다./박효정·서민우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