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기업 평균임금, 소기업의 3.2배…美·日보다 격차 커

"대기업, 협력 중기 인센티브 확대해야"

지난 해 우리나라 대규모 기업의 평균임금이 소기업의 3.2배인 것으로 드러났다./서울경제DB지난 해 우리나라 대규모 기업의 평균임금이 소기업의 3.2배인 것으로 드러났다./서울경제DB


우리나라 대규모 기업의 평균임금이 소기업의 3.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1.3배)이나 일본(1.6배)와 비교해도 상당한 격차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3일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 국제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러한 내용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500인 이상 대규모 기업의 구매력 평가 지수(PPP) 환율 대비 월 평균임금은 6,048달러였다. 5인 미만(1∼4인) 기업(1,894달러)의 3.2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 격차는 미국이나 일본보다도 크다. 2014년 현재 미국 500인 이상 기업의 평균임금(4,618달러)은 5인 미만 기업(3,532달러)의 1.3배다. 2015년 기준 일본의 500인 이상 기업의 평균임금(3,982달러)은 5인 미만 기업(2,497달러)의 1.6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PPP 환율 기준으로 비교할 때, 대규모 기업의 월 평균임금은 한국이 미국이나 일본보다 높지만 5인 미만 소기업의 월 평균임금은 두 국가보다 낮다고 노 위원은 분석했다. 실제로 전자는 한국이 미국보다 31.0%, 일본보다 51.9% 높았다. 반면 후자의 경우 한국이 미국의 53.6%, 일본의 75.9% 수준에 그쳤다.

한편 한국 대규모 기업의 평균임금은 2010년 이후 미국, 일본과 격차를 벌리며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0년 PPP 기준 월 평균임금은 미국의 115.4%였으나 2014년에는 131.6%로 4년 만에 격차가 16.2% 포인트 커졌다. 일본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이다. 2010년 한국 평균임금은 일본의 133.8%였으나 2015년에는 154.5%로 5년 만에 20.7% 포인트 격차가 확대됐다. 노 위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이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또는 복지수준 향상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생산성 향상, 비용절감, 이윤 발생 등 경영 성과를 근로자에게 공유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류승연 인턴기자 syryu@sedaily.com

류승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