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청년실업률 외환위기 이후 '최악'… 취업자 수도 추락

취업자수 7개월만에 20만명대로 '뚝'

건설업 부진 등으로 증가폭 둔화

8월 취업자 수가 7개월 만에 다시 20만 명대로 떨어졌다. /서울경제DB8월 취업자 수가 7개월 만에 다시 20만 명대로 떨어졌다. /서울경제DB


8월 취업자 수가 7개월 만에 다시 20만명대로 떨어졌다. 건설업 일용직 취업자 수 증가폭이 크게 둔화한 탓이다. 8월 기준 15∼29세 청년실업률은 외환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1999년 이후 최고치였다. 체감실업률도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74만 명으로 1년 전보다 21만 2,000명 늘었다. 취업자 수는 올해 2월 37만 1,000명을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30만명을 웃돌다가 지난달 다시 20만명대로 떨어졌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한 건 건설업·교육서비스업·부동산업 및 임대업의 부진 탓이 크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3만 4,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올해 2월 14만 5,000명 늘어난 이후 6개월 연속 10만 명 이상 증가세를 이어오다 7개월 만에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

관련기사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조사대상 주간에 거의 매일 비가 와서 일용직 증가폭이 크게 둔화한 것이 취업자 수 증가폭을 줄이는데 영향을 줬다”라며 “건설업 취업자 증가폭이 계속 하락세였던 점도 영향이 있다”라고 말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4만 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3만 4,000명)에서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만 5,000명 늘면서 3개월 연속 증가했고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7만 5,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만 8,000명) 등에서도 취업자가 증가했다.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3,000명 줄어들어 지난해 7월 1만 명이 줄어든 이래 1년여 만에 처음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청년실업률은 9.4%로 1년 전보다 0.1%p 상승했다. 청년실업률은 1999년 8월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체감실업률인 청년층 고용보조지표 3은 22.5%로 1년 전보다 1.0%p 올랐다. 체감실업률도 2015년 이후 8월 기준(22.6%)으로 가장 높았다./류승연 인턴기자 syryu@sedaily.com

류승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