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사드 갈등에…'외환 방파제' 절반 잃나

560억弗 규모 한중통화스와프

만기 한달 남았는데 협의 난항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회의서

의제 아니지만 논의 가능성도

우리나라의 가장 큰 ‘외환 보험’인 한중 통화스와프 만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연장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의 여파로 연장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이 와중에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가 한자리에 모여 관심이 집중되지만 이번 회동으로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1415A10 한국 통화스와프 체결 현황 수정1




13일 한국은행은 이주열 한은 총재와 저우샤오촨 중국 인민은행 총재,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13~1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제9차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참석해 최근 경제 및 금융 동향에 대해 논의한다고 밝혔다. 3개국 중앙은행은 상호 협력 증진 차원에서 2009년부터 번갈아가며 총재회의를 열고 있지만 이번 회의는 한중 통화스와프 만기가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 열려 더 관심을 모은다.


오는 10월10일로 만기를 맞는 한중 통화스와프의 규모는 560억달러다. 우리나라가 맺은 통화스와프 가운데 최대 규모로 전체 통화스와프(1,222억달러)의 46%에 달한다.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이 무산될 경우 우리 외환 방파제의 절반이 날아가는 셈이다. 이 경우 경제 불확실성 확산, 투자심리 위축 등의 악영향이 우려된다. 더욱이 최근 고조된 북핵 리스크로 외화유동성 확충을 위해 통화스와프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8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3,848억4,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지만 안심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기사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은 “외환 시장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부정적 요인들이 쌓이기 시작하면 그 속도를 걷잡을 수 없다”면서 “과거에 비해 외환보유액이 넉넉한 것은 사실이지만 본래 통화스와프는 만일에 대비해서 하는 것”이라며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한중 통화스와프는 상호 간에 유익한 일인 만큼 정부가 잘 설득하되 연장이 불발될 경우에 대비해 일본과의 통화스와프도 재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에 따르면 한중 통화스와프 문제는 이번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회의의 공식의제에 오르지는 못했다. 한은은 “(한중 통화스와프는) 특정국 간의 정책이슈로 3개국 총재 간 공통된 관심사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협상 과정 자체는 기획재정부가 주도하는 만큼 이번 회동으로 구체적인 결실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이 총재와 저우 인민은행 총재 사이에 비공식적으로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서로 관심이 크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쪽으로 대화가 흘러갈 수 있다”고 전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