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최우선 국정과제 '일자리' 文정부 출범 4개월만에 반토막

8월 취업자 수 21만명 증가 그쳐... 7개월만에 20만명대

청년실업률도 9.4%로 외환위기 이후 최악

정부 "조사기간 중 비가 와 일용직 증가 폭 둔화된 탓"

13일 오전 동대문 DDP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서 한 취업준비생이 게시판을 촬영하고 있다./연합뉴스13일 오전 동대문 DDP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서 한 취업준비생이 게시판을 촬영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출범 4개월만에 8월 신규 취업자수가 20만 명대로 꼬꾸라지면서 반 토막이 났다. 특히 15∼29세 청년실업률은 8월 기준으로 외환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1999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문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인 일자리 창출 작업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정부는 지난달 비가 많이 와서 건설 일용직 취업자 증가 폭이 둔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 이후 중국의 무역 보복과 중국인 관광객 감소세나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건설 경기 악화가 예상되고 있어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창출 작업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지 우려된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74만 명으로 1년 전보다 21만 2,000 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번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13년 2월 20만 1,000 명을 기록한 이후 4년6개월만에 가장 적은 것이다. 취업자 수는 올해 2월 37만 1,000 명을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30만 명을 웃돌았지만 지난달 7개월만에 다시 20만 명대로 떨어졌다. 신규 취업자 수는 3월 46만6,000만명, 4월 42만4,000명, 5월 37만5,000명, 6월 30만1,000명, 7월 31만3,000명 등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8월 취업자 증가 폭 감소는 도매 및 소매업이 증가로 전환했지만 건설업·교육서비스업·부동산업 및 임대업 등에서 부진하면서 전체 증가 폭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 수는 3만4,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올해 2월 14만5,000명 늘어난 이후 6개월 연속 10만명 이상 증가를 이어오다가 7개월 만에 증가 폭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또 전년 같은 기간의 취업자 수가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8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8만7,000명 늘어 8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관련기사



통계청은 “조사 대상 주간에 거의 매일 비가 와서 일용직 증가 폭이 크게 둔화한 것이 취업자 수 증가 폭을 줄이는데 영향을 줬다”며 “건설업 취업자 증가 폭이 계속 하락세였던 점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숙박 및 음식점업(-4만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3만4,000명) 등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 수는 2만5,000명 늘면서 3개월 연속 증가했고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7만5,000명),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4만8,000명) 등에서도 취업자가 증가했다.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3,000명 줄어들어 지난해 7월 1만명 줄어든 이후 1년여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그동안 자영업자가 급증한 데 따라 조정국면에 들어간 것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고용률은 61.1%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실업자는 1년 전보다 5,000 명 늘어난 100만 1,000 명을 기록하며 두 달 만에 다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실업률은 3.6%로 전년과 동일했다.

반면 청년실업률은 9.4%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실업률은 외환위기 후폭풍이 한창이던 1999년 8월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체감실업률인 청년층 고용보조지표 3은 22.5%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나 상승했다. 체감실업률 역시 2015년 이후 8월 기준(22.6%)으로 가장 높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재학·수강(-7만5천 명), 육아(-11만1,000 명) 등에서 줄었지만 쉬었음(21만7,000 명) 등에서 증가해 11만 1,000 명 증가했다.

취업 준비생은 5만 9,000 명 증가한 69만 5,000 명으로 집계됐다. 구직 단념자는 48만 4,000 명으로 1년 전보다 6만 2,000 명 늘었다. 전체 고용보조지표3은 11.2%로 1.0%포인트 상승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