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원 쥐어짜기한 서울교육청, 내년도 초등교사 385명 선발

사전예고보다 3배 이상 늘었지만

휴직·파견 최대한 늘려 자리 확보



초등학교 교사 임용절벽 사태를 불러온 2018학년도 서울시 초등교사 선발인원이 385명으로 확정됐다. 지난달 사전예고한 105명보다 3배 이상 늘었지만 전년도 모집인원인 846명(합격자 813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교육부가 교사 정원을 동결한 상태에서 현직 교사의 휴직·파견을 최대한 늘려 자리를 확보하는 ‘정원 쥐어짜기’의 결과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13일 “학습연구년제 교사 및 파견교사 확대 등에 따라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여유인력만큼 선발인원을 증원했다”며 “향후 문재인 정부가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감축하는 등 교사 수를 늘릴 것이라는 점도 감안했다”고 말했다.


시 교육청은 이를 위해 시간선택제 교사 전환요건을 ‘학교 내 2인 신청’에서 ‘학교 간 2인 신청’으로 완화하고 자율연수휴식제 제한(학교 정원의 5% 이내)을 삭제했다.

관련기사



올해 정원 쥐어짜기를 통한 선발인원 확대는 내년과 내후년 선발인원 감소라는 ‘임용절벽 장기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 교육청은 앞으로 2~3년간 선발인원을 예년보다 적은 300명 안팎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조 교육감은 “교사 수요 급감의 피해가 올해 교대 졸업생에게 집중되는 것은 부당하다고 판단해 선발인원을 최대한 늘렸다”며 “대신 향후 몇 년간 선발인원을 다소 줄여 고통을 분담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내년 실제 선발인원은 300명보다 더 낮은 수준에 머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직 교사의 휴직이나 시간선택 전환이 예상보다 적으면 그 숫자만큼 선발인원을 축소해야 하기 때문이다.

윤오영 시 교육청 교육정책국장도 “올해 선발인원 확대는 약간의 모험”이라고 인정했다. 현재 서울 초등학교 교사 임용 대기자 851명에다 올해 선발인원 385명을 더하면 총 대기자 수는 1,236명으로 늘어난다. 올해 교사 발령 예상인원 380명이 내년과 내후년까지 이어진다고 가정하더라도 총 발령인원(1,140명)은 임용 대기자보다 100명가량 적다. 경기·인천·대전·세종·전북·제주 등 ‘임용절벽’을 맞은 다른 지역도 향후 2~3년간 선발인원을 줄이는 대신 올해 선발인원을 소폭 늘리는 ‘쥐어짜기’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