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같은 증상이어도...한방물리치료비 병원따라 126배 차이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 진료비 분석…“경상 환자 한방진료비 증가세”

같은 증상이더라도 한방물리요법의 진료비가 병원에 따라 최대 126배 차이가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공식적인 진료비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병원들이 가격을 천차만별로 매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4일 보험개발원이 손해보험사 11개사의 자동차보험 대인배상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보험의 총 진료비는 지난해 1조3,054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8.0% 늘었다. 이중에서도 한방진료비는 전년 대비 30.7% 증가한 3,459억원을 기록해 전체 진료비 증가의 주 원인이 됐다.

특히 교통사고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경추(목뼈)·요추(허리뼈) 염좌 등으로 가볍게 부상한 이들이 한방 진료를 받는 경우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한방 진료를 받은 경상 환자 수는 2013년 11만명, 2014년 29만명, 2015년 44만명, 지난해 54만5,000명으로 최근 3년 사이 5배 급증했다. 이에 따라 경상 환자의 한방진료비는 지난해 3,024억원으로 양방진료비(2,430억원)을 추월했다.


한방진료비를 진로 항목별로 보면 첩약이 29.4%로 가장 비중이 컸고, 침술(15.5%), 진찰료(11.4%), 추나요법(7.9%) 등이 뒤를 이었다. 한방물리요법의 비중은 6.9%에 그쳤지만, 전년에 비해 2.2%포인트 증가해 다른 항목에 비해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관련기사



한방물리요법은 병·의원별 진료비 편차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상 급수가 가장 낮은 14급 경추염좌 환자를 기준으로 한방병원 한방물리요법의 진료비를 신출한 결과, 진료비 상위 10% 평균이 48만800원으로 하위 10% 평균(3,800원)의 125.7배에 달했다.

한방물리요법이 병·의원에 따라 진료비가 많이 차이 나는 것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자동차보험 진료수가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해 올해 초 한방물리요법의 자동차보험 진료수가를 신설해 이달부터 적용하도록 했다.

보험개발원은 “한방진료 비급여 항목에 대해 표준 진료지침을 마련해 한방진료의 투명성과 적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9월부터 시행되는 한방물리요법 진료수가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의료기관과 보험업계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