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북핵 리스크, 韓 신용등급 단기 영향 없어

“최근 한반도에 발생한 북핵, 사드 등의 이슈가 단기적으로 한국 신용등급을 강등할 요인은 아니다”

14일 킴엥 탄 S&P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신용평가팀장은 서울 광화문 S&P 한국지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반도 주변국가가 모두 전재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 경제에 급격한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S&P는 지난 해 8월 한국 국가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이는 S&P에서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탄 팀장은 “북한이 핵을 개발하는 이유는 전쟁이 아닌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용도”라며 “정상국가로 인정받아 경제 제재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하는 것인 만큼 실질적 위험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북핵 이슈가 한국의 신용등급 상향을 제한하는 요인이라는 점은 인정했다. 그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 할 수 없는 이유는 북핵 이슈 때문”이라며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평화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모습을 보여야 신용등급 상향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 경제는 상반기에 경제 성장이 견조했지만 하반기에는 3%를 밑도는 성장률을 나타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가계부채, 고령화, 소득 양극화 등은 장기적으로 한국 국가신용등급 하락 요인이다. 탄 팀장은“고령화 심화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수요를 줄여 정치적 문제로 연결될 가능성도 크다”며 “문재인 정부가 복지 분야에 재정을 더 투입하고 있지만 한국은 재정 건전성이 매우 우수해 실제로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기 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