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통일부, "대북 인도 지원 계속"...정치군사적 상황과 분리

인도적지원은 영유아, 임산부 등 북한 취약계층 위해

北 도발 무시할 수 없지만 여러 가지 상황 고려할 것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은 한반도 정치·군사적 상황과 분리해 계속 추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연합뉴스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은 한반도 정치·군사적 상황과 분리해 계속 추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연합뉴스


통일부는 15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도 정치적 상황과는 상관없이 대북 인도적 지원은 계속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대북 인도적 지원 추진 방침은 유효하냐’는 질문에 “영유아, 임산부 등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한다는 것이 우리 정부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부대변인은 “21일로 예정된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유니세프와 세계식량계획(WFP)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 요청에 따른 대북지원 사업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원 방침이 결정되면 지원을 할 구체적인 시기 등은 방침에 따라 여러 상황을 보면서 결정해 나갈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도발을 그만두지 않더라도 대북지원은 계속하는지에 대해선 도발에서 자유로울 수 없겠지만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한다는 입장이다. 이 부대변인은 “엄중한 상황인식에는 변함이 없으며 이번에 채택된 대북제재 결의가 철저히 이행되도록 국제사회와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고 언급한 뒤 “북한 주민이 처해 있는 열악한 상황을 고려해 인도적 지원은 정치·군사적 상황과 분리해 지속 추진한다는 입장은 똑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부대변인은 대북지원 모니터링 관련 질문에 “대북지원에 나서는 국제기구는 엄격한 투명성을 가지고 북한 지역을 감시해왔다”며 “북한에 상주 기구가 있기 때문에 철저한 모니터링이 집행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기금을 받아서 인도적 지원사업을 추진하면 한국 정부와도 긴밀하게 모니터링 결과를 놓고 협의를 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