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현무 1발은 추락...'킬체인' 적신호

북 미사일 발사와 동시 현무-2 실사격 훈련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은 15일 북한이 평양 일대에서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자 즉각 동해상으로 현무-2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2017.9.15  [육군 제공=연합뉴스]      phot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군은 1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현무미사일 2발을 대응 발사했지만 1발은 실패했다. 현무미사일은 유사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해 타격하는 탄도미사일로 킬체인에 동원되는 핵심전력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전6시57분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지 6분 만인 오전7시3분께 동해안에서 평양 순안비행장에 대한 원점 타격을 상정해 현무-2A 미사일 2발을 발사했지만 1발이 수초 만에 동해상으로 낙하했다고 밝혔다.


1발은 정상적으로 250㎞를 날아가 목표지점에 정확히 명중했으나 나머지 1발은 수초 만에 바다로 추락했다. 미사일 낙하로 발생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무-2A 실전배치 이후 수초 만에 추락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군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군은 즉시 추락 원인 규명에 나섰다. 떨어진 탄체를 회수하거나 다른 현무미사일을 무작위로 골라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원인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번 미사일 발사 실패로 우리 군의 킬체인 시스템이나 대량응징보복(KMPR) 작전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현무미사일은 사거리 300㎞의 현무-2A를 비롯해 사거리 500㎞의 현무-2B, 800㎞의 현무-2C를 운용하고 있다. 현무 계열 탄도미사일은 유사시 북한의 핵·미사일 기지를 파괴하는 킬체인·KMPR 작전에 동원된다.

현재 500㎏~1.5톤 현무미사일의 탄두 중량을 최대 2톤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방위사업청과 관련 업계가 연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탄두 중량이 늘면 사거리가 줄어들 수 있는 상황에서 이번 발사 실패가 군 작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