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헬로 굿닥터] 경추 척수증

강경중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손 감각 둔화·보행장애 등 동반

증상 있다면 바로 병원 찾아야

강경중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강경중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목뼈(경추)·등뼈(흉추)·허리뼈(요추)로 이어지는 척추에는 뇌와 온몸에 퍼져 있는 신경을 연결하는 척수신경이 지나간다. 디스크(추간판)가 튀어나오거나 척수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누르면 손발 등의 기능이 떨어지고 통증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경추 척수증은 목 척추관이 좁아진 경추관협착증 환자 등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 증상이다. 일반적인 목 디스크는 목 통증과 팔·손가락 부위의 저림이나 통증을 유발하는데 척수증은 보다 심각한 증상을 가져온다. 마치 머리에 중풍(뇌졸중)이 생겼을 때 마비가 오는 것처럼 손이 둔해지고 걸음걸이도 불편해진다. 환자의 상당수는 마비가 오면 뇌에 이상이 생겨 뇌졸중 등 머리에 문제가 생긴 줄 알지만 경추관협착증이 원인인 경우도 많다.


척수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정상인에 비해 좁은 사람도 있고 나이가 들면서 관절·인대가 커지고 불필요한 뼈가 자라 척추관을 누르기도 한다. 발병 초기에는 목과 어깨 주변부에 통증이 발생하고 팔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는데 목 디스크의 초기 증상과 비슷해 일반인이 구분하기 어렵다.

관련기사



목 디스크는 이상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경추관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며 점차 악화된다. 보행장애 같은 하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진단에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이 의심될 때는 우선 X레이 촬영을 하지만 신경이 얼마나 눌려 있는지를 알 수는 없다. 따라서 증상이 심한 경우 신경이 눌리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경추관협착증은 목에 있는 신경이 팔뿐 아니라 몸 전체로 연결돼 있어 조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감각신경이 압박을 받아 팔이나 손의 감각이 둔해지고 보행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또 근력 저하, 배뇨 장애, 심하면 하반신 마비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초기에 비슷한 증상이 있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와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뇌와 허리 척수신경을 연결하는 목 척수신경이 한 번 손상되면 허리 척수신경보다 회복이 어렵고 훨씬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므로 최대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강경중 경희대병원 교수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