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소기업 2곳 중 1곳 "추석 자금 사정 곤란"

중기중앙회, 1,147개 업체 설문 46% "어렵다"

자금난 원인 매출감소, 판매대금 회수 지연 순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이 열흘간 이어질 긴 추석 연휴 때 자금 사정이 곤란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8월 28일∼9월 8일 1,147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7년 중소기업 추석자금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46%는 자금 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조달 곤란 원인(복수응답)은 ‘매출감소’(69.1%)가 가장 많았다. 이어 ‘판매대금 회수지연’(37.7%), ‘원자재 가격 상승’(23.1%) 순이었다.


‘매출감소’ 응답은 ‘서비스업(도소매업 제외)’이 78.3%, ‘수출기업’이 71.6%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이는 올해 초부터 본격화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년 대비 산업용 원자재 가격이 크게 상승함에 따라 ‘원자재 가격 상승’ 응답이 12.1%포인트 상승, 2배 이상 증가했다. 중소기업이 추석에 필요한 금액은 평균 2억3,910만원으로 지난해(2억310만원)보다 3,600만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부족한 금액은 6,470만원으로, 필요자금 대비 부족률은 27.1%였다.


전년 대비 추석 자금 부족률은 10%포인트 감소해 추석 자금 확보 수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왔다. 중소기업은 ‘납품대금 조기회수’(46.6%), ‘결제연기’(40.0%), ‘금융기관 차입’(27.6%) 등의 방법으로 추석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납품대금 조기회수’와 ‘결제연기’ 응답은 각각 전년 대비 19.8%포인트, 12.4%포인트 증가했다.

관련기사



추석 상여금(현금) 지급 예정인 업체는 56.1%로 작년(61.6%)보다 5.5%포인트 감소했다. 추석 상여금 지급업체는 정률 지급 시 기본급의 56.0%, 정액 지급 시 평균 67만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상여금(현금) 미지급 사유로는 ‘연봉제로 미지급’(16.1%), ‘경영 곤란 미지급’(10.4%)순이었다. 전년 대비 각각 3.0%포인트, 2.1%포인트 늘어났다.

중소기업은 주말, 대체휴일 등을 모두 포함한 열흘의 추석 연휴 중 평균 7.6일을 휴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업체의 35.6%는 올해 추석에 10일 전체를 휴무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이 곤란하다는 응답은 30.6%로 ‘원활’(10.4%)하다는 응답보다 20.2%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29.9%)보다 자금조달여건이 더 안 좋아진 것이다. 금융기관 거래 시 애로사항(복수응답)은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 대출 관행’(37.5%), ‘신규 대출 기피’(28.6%), ‘고금리’(27.8%), ‘부동산 담보요구’(24.9%)순이었다. ‘고금리’라는 응답이 지난해보다 9.3%포인트 증가,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중기중앙회는 “금리가 높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중소기업 대출이 증가해 중소기업이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애로를 겪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대출은 2015년 말 60조원에서 올해 6월 96조원까지 증가했다. 중기중앙회는 “시중 은행의 담보·보증 위주의 대출, 중소기업의 제2금융권 활용 등과 같은 고질적인 후진적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관계형 금융 실적 평가 및 금융권 동반성장지수를 도입하는 등 시중 은행과 금융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정민정기자 jminj@sedaily.com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