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 "인사 피해 직원들도 보상해야 신한사태 끝날 것"

스톡옵션 보류 해제 했지만...불만 토로

신 전 사장 "명예회복 안 됐다

키맨이 회장이냐 행장이냐" 분통

신한측 "대승적 결단 필요한데…"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


신한금융지주가 18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에게 지난 2008년에 부여했던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 보류 조치를 해제했다. 신 전 사장은 그동안 받았던 모든 스톡옵션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신한금융 이사회가 마지막 남은 스톡옵션 행사 보류 조치를 해제하며 7년 앙금의 신한 사태에 종지부를 찍자는 제스처를 보낸 것이다. 하지만 신 전 사장은 여전히 “진정성 있는 사과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완전 매듭까지는 여전히 ‘진행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 전 사장은 18일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신한 사태는 아직 마무리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신 전 사장은 “스톡옵션(해결)이 보상은 아니지 않느냐”며 “당연한 결과지만 (은행 측의) 성의가 없다”고 말했다.


신 전 사장은 올해 3월 대법원 판결에서 사실상 무죄가 나왔지만 잃어버린 7년에 대한 명예회복이 되지는 않았다는 생각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전 사장은 경영자문료 횡령, 부당 대출에 따른 배임, 금융지주회사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됐지만 일부 횡령 혐의만 제외하고 무죄가 확정됐다. 그는 “보상은 둘째치고라도 처음에 날 고소했을 때 은행이 보도자료까지 내지 않았느냐”며 “스톡옵션으로 다 끝난 것처럼 이야기하면 어떻게 하냐”고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실추된 명예에 대해서는 (아직 은행 측에서) 묵묵부답”이라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특히 신 전 사장은 신한 사태로 당시 인사상 불이익을 당한 후배들에 대해서도 구제가 되지 않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나 혼자만이 피해자가 아니며 인사 테러를 당한 직원들이 복귀하기 힘들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해줘야 하는 게 아니냐”며 “키를 쥐고 있는 사람이 회장이냐, 행장이냐 아니면 뒤에 있는 상왕이냐”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금융권에서는 신한금융의 이번 결정에 대해 신 전 사장과 대승적인 화해를 위한 조치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신 전 사장의 행보를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신한 사태 당사자인 신 전 사장과 라응찬 전 신한금융그룹 회장,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은 올 7월 ‘이희건 신한금융 명예회장 탄생 100주년 기념음악회’에서 만났지만 분위기는 어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