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소형 원자로 SMART, 제3국 상대로 수출길 확대 나선다

IAEA 총회 부대행사로 중동·아프리카 국가 등 초청 설명회 가져

한국이 사우디와 공동으로 상용화를 추진하는 소형원자로 SMART를 사우디 이외의 제3국으로 수출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2017년도 IAEA 정기총회기간중 부대행사로 ‘스마트 개발(SMART Development)’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한국과 함께 스마트 상용화를 공동 추진중인 사우디아라비아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K.A.CARE)이 주최한 이번 설명회는 중동 및 아프리카, 동남아 국가 등 스마트 관심국들이 참여한 가운데 18일 IAEA 본부 회의실에서 열렸다.

설명회에서는 최근 승인된 사우디의 국가 원자력 사업계획을 소개하고 한국과 사우디가 스마트 상용화를 위해 추진하는 ‘스마트 파트너십’에 대해 중동·아프리카 15개국, 동남아 5개국, 중앙아시아 2개국 등 스마트 도입 관심국가 22개국을 대상으로 설명했다.


사우디는 중동·북아프리카(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 지역의 맹주로서, 지난 7월 사우디 각의에서 ‘국가원자력사업’을 승인하여 국왕 칙령(Royal Decree)으로 발표한 바 있다.

관련기사



승인된 ‘국가원자력사업’은 한국과 함께 소형 원전 스마트 상용화를 공동 추진해 스마트 2기를 자국내에 건설하고 주변국에 수출을 추진한다는 ‘한·사우디 스마트 파트너십’협력 내용이 포함돼 있다.

향후 한·사우디 양국은 ‘한·사우디 스마트 파트너십’에 따라 착수한 SMART PPE(Pre-Project Engineering) 사업을 통해 2018년까지 설계와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예비안전분석보고서(PSAR)를 작성해 마무리하고 이후 사우디 측의 검토를 거쳐 SMART 1·2호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한국과 사우디의 SMART 공동상용화 추진은 개도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들에게 원자력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