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인극빈층 7만3,000가구 주거지원 사각지대 놓여

KDI “정부 DB 통합해 효율적 지원 체계 마련해야”

월세살이를 하는 노인 극빈층 7만3,000여가구가 정부 주거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1일 발표한 ‘월세비중 확대에 대응한 주택임대정책 방향’에 따르면 월세살이를 하는 60세 이상 고령층의 59%가 월소득 100만원 이하(소득 2분위)였고, 이들 가운데 48.7%는 소득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송인호 KDI 연구위원은 “소득 대비 과도한 주거비 지출은 주거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월세 거주 고령층 가운데 소득 1분위에 해당하는 최저소득층은 27만4,000가구다. 이 중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와 주거급여 수령 가구가 각각 9만6,000가구, 10만5,000가구여서 최소 7만3,000여가구는 주거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가 주거급여나 임대주택으로 약 200만 가구를 지원하면서 정작 가장 도움이 필요한 대상을 놓치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이는 지방자치단체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민금융진흥원 등 주거지원관리 기관의 정보가 통합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송 연구위원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해 효율적인 주거지원전달체계를 구축하면 꼭 필요한 대상을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세 위주인 아파트에 보증부월세(반전세) 공급이 많아지도록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현재 월세 임대소득 과세는 2주택 이상 보유자에게 적용되지만 전세는 3주택 이상이어서 임대인이 전세를 내놓도록 유도한다. 송 연구위원은 “신혼부부는 아파트를 선호하는데 전세금을 마련하다 결혼이 늦어진다”며 “보증부월세를 늘려 청년의 주거 선택권을 넓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임대소득 과세도 월세에 불리하지 않게 바꾸고, 뉴스테이사업과 유사한 조건(임대기간 8년, 상승률 5%제한)으로 임대할 경우 임대인에게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