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수원·화성시, 정조대왕 능행차 전구간 재현

22~23일 서울 출발해 수원거쳐 화성까지 60km 구간 능행차

지난 해 열린 정조대왕 능행차의 행렬이 배다리를 지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지난 해 열린 정조대왕 능행차의 행렬이 배다리를 지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창덕궁에서 사도세자의 묘인 경기도 화성 융릉까지 약 60㎞에 이르는 정조대왕 능행차가 완벽하게 재현된다.

서울시와 수원시·화성시는 23~24일 정조대왕 능행차를 처음으로 전 구간에 걸쳐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1795년 을묘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함께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참배하러 간 ‘능행차’를 222년 만에 전 구간을 재현한 것이다.

1996년 수원시가 일부 구간(8㎞)을 재현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서울시가 참여해 창덕궁에서 수원화성까지 능행차를 선보였다. 올해는 화성시가 참여해 창덕궁에서 출발해 사도세자의 묘인 융릉까지 전 구간을 재현한다.


올해 정조대왕 능행차에는 4,391명과 말 690마리가 참여하며 행렬은 서울 창덕궁을 출발해 시흥행궁을 거쳐 수원의 화성행궁과 화성 융릉까지 59.2㎞ 구간을 지나게 된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창덕궁∼배다리∼시흥행궁 구간, 수원시는 시흥행궁∼화성행궁∼대황교동 구간, 화성시는 대황교동∼현충탑∼융릉 구간을 맡는다.

이번 행사의 최대 볼거리는 23일 한강 이촌지구에서 노들섬까지 약 310m 길이로 설치되는 배다리다. 임금이 행차할 때 백성이 징과 꽹과리를 치며 억울함을 호소하던 ‘격쟁’이 재현되고, 박원순 서울시장과 염태영 수원시장, 채인석 화성시장, 이창우 동작구청장, 성장현 용산구청장이 참석해 배다리의 안전을 점검하는 시도식을 진행한다.

23∼2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일반 시민도 즐길 수 있는 배다리 체험이 열린다. 한강대교 노들 직녀카페·견우카페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통해 내려가면 배다리를 이용할 수 있다.

능행차 기간 중 주요 거점에서는 무술 공연, 먹거리 장터, 전시관 등 다양한 볼거리도 펼쳐진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