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명의’ 갑상선암은 착한 암? 갑상선암에 대한 오해와 진실

‘명의’ 갑상선암은 착한 암? 갑상선암에 대한 오해와 진실




22일 방송되는 EBS1 ‘명의’에서는 ‘갑상선암, 과연 착한 암인가?’ 편이 전파를 탄다.


착한 암, 거북이 암, 로또 암. 갑상선암에 붙여진 이름으로 갑상선암이 진행 속도가 느리고 생존율이 높다는 것이 이유이다. 이 말이 그럴 듯하게 들리는 것은 갑상선암이 발병률은 1위이지만 5년 후 생존율은 100%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초기의 갑상선암 환자 스스로도 병을 가볍게 보거나 수술하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는데. 갑상선암은 착한 암이기 때문에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 EBS 명의 ‘갑상선암, 과연 착한 암인가?’ 편에서는 착한 암에 가려진 갑상선암의 진실과 올바른 치료법을 알아본다.

▲ 착한 암일까요?

“그때는 되게 작았는데 일 년 후가 되니까 임파선에 전이도 의심된다고 하더라고요.”

“그게 착한건가...“

최명지(가명) 씨가 오랜만에 병원을 찾았다. 갑상선암 진단을 받은 지 1년! 임신 중이라 지금까지 수술을 미뤘다는 그녀. 오랜만에 받은 검사 결과가 충격적이다. 1cm이던 갑상선암이 1년 사이 림프절까지 전이가 일어난 것! 갑상선암이라서 전이를 잘 안하고 진행이 천천히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다는데. 전이가 이렇게 빨리 진행된 이유가 뭘까?

“일찍 발견해서 일찍 (수술)해주는 게, 작은 암 작게 고치는 게 정답입니다.”

외래 후 3일 만에 수술이 결정된 박현순(가명) 씨. 그녀의 병명은 갑상선암의 다양한 암 종류 중 저분화암! 미분화암 바로 전단계의 암으로 진행이 빠르고 예후가 좋지 않다. 모든 갑상선암의 종류가 착하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인데. 갑상선암에는 어떤 종류의 암이 있고 어떤 암일 때 빨리 수술을 해줘야 하는 걸까?

▲ 수술 후 남은 부작용, 목소리!


“‘큰일 났다. 그때는 진짜 하늘이 노랗게 (변했어요.)”

관련기사



최근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김양규(남/61세) 씨. 갑작스런 갑상선암 진단에 하늘이 노랗게 변했다는 그가 가장 먼저 했던 일은 ‘수술을 받지 않을 수 없을까.’하는 기대로 정보를 찾는 일이었다. 바로 목소리 때문! 쉰이 넘어 꿈을 찾은 그는 아마추어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그에게 목소리는 너무나 소중한데. 갑상선암 수술 후 다시는 노래를 부르지 못 하게 되는 것이 가장 큰 걱정이었다.

교수님의 권유로 결국 수술을 받게 된 그가 수술 후 처음 무대에 올랐다. 떨리고 긴장되는 마음인데. 그는 다시 노래를 부를 수 있을까?

▲ 1cm 미만 갑상선암, 수술해야 할까요?

얼마 전 갑상선암 진단을 받은 김향임(여/69세) 씨. 다른 병원에서 수술을 권유받았지만 후유증이 두려워 여전히 수술 여부로 고민하고 있어 병원을 찾았다.

“수술 안 해도 될 사람이 있고 해야 될 사람이 있는데 저는 수술을 해야 될 사람인데 이렇게 미뤄왔던 거죠.”

내과에서 상담을 받은 뒤 수술하기로 결심을 굳혔다는 그녀. 마음을 바꾸게 된 이유가 뭘까?

1cm 미만의 갑상선암을 치료할 때는 지켜보는 방법과 수술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갑상선암 수술 후 매일 갑상선 호르몬 약을 복용해야 하고 목소리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 것을 환자가 우려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모든 경우에 암을 지켜볼 수 있을까? 어떤 경우에 수술해야 할까?

EBS 명의 ‘갑상선암, 과연 착한 암인가?’ 편에선 그동안 착한 암이라고 생각해왔던 갑상선암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사진=EBS1 ‘명의’ 예고영상캡처]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