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정원 관제시위' 추선희 사무총장 이틀째 조사…"기업이 후원" 주장

추씨 "2010∼2013년까지 계좌로 돈 받아"

국가정보원의 정치개입 의도에 발맞춰 ‘관제시위’를 주도한 의혹을 받는 추선희 대한민국 어버이연합 전 사무총장이 이틀째 검찰에 소환됐다.

추 전 사무총장은 22일 오후 2시 5분께 검정색 티셔츠 차림으로 자신의 변호를 맡은 서석구(73) 변호사와 함께 2차 피의자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검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전날에도 나와 피의자 조사를 받았다.


추 전 사무총장은 조사실로 향하기 전 취재진을 만나 “2010년부터 100만∼300만원씩 총 3,000만원 정도를 중소기업 임원으로부터 지원 받았다”며 “만약 잘못된 돈 같으면 세탁해서 전달하든지 할텐데,은행계좌로 들어와 당연히 기업 후원으로 믿었다”고 주장했다. ‘돈을 준 임원의 명함을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받지 못했다. 그쪽에서 ‘어르신들이 안타깝다, 도와드리고 싶다’고 해 그렇게 믿었을 뿐”이라고 답했다.

국정원으로부터의 관제시위 지시 가능성도 부인했다.


추 전 사무총장은 “우리 노인들은 ‘꼴통’들이라 지시를 안 받는다. 어버이연합 배후는 새벽에 일어나 보는 텔레비전 뉴스일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관련기사



이날 추 전 사무총장 법률대리인 자격으로 함께 온 서석구 변호사도 국정원으로부터 후원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서 변호사는 “보수단체 활동을 하면 ‘수고한다’며 독지가가 나서 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며 “순수하게 나라를 생각하는 훌륭한 독지가라 생각하고 돈을 받지, 돈 받는데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를 수사기관처럼 신문할 수 있냐”며 반문했다.

서 변호사는 또 “후원금은 중소기업을 통해서 소위 합법적 루트를 통해 받은 것”이라며 “국정원 직원이 돈을 줬다는 황당한 추리소설을 갖고 인민재판을 하고 있는데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씨는 전날 검찰 조사에서 자금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그것의 배후에 국정원이 있었는지 조차 몰랐으며, 시위 역시 국정원 측 요구 등 고의성 없이 자발적으로 한 일이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과 검찰 등에 따르면 당시 추씨가 몸담았던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는 2011년 11월 국정원 심리전단의 지원을 받아 당시 취임 초기였던 박원순 서울시장을 반대하는 가두집회를 연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에 올라 검찰에서 피해 사실을 진술한 배우 문성근씨도 검찰에서 열람한 국정원 문건에 자신의 정치활동을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어버이연합을 동원한 시위’, ‘몇 회에 800만원 지불’ 등의 내용이 있었다고 전한 바 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