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언론, 北 자위권 집중조명…“가장 직접적·위협적 반응”

“완전파괴 발언을 이미 선전포고로 인식"

입장 발표하는 리용호 북한 외무상. /연합뉴스입장 발표하는 리용호 북한 외무상. /연합뉴스


미국 언론은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25일(현지시간) 앞으로 미국 전략폭격기가 북한 영공을 침범하지 않더라도 자위권을 행사하겠다는 발언 속 ‘자위권’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유엔 헌장에서 인정한 자위권의 범위에 대한 전문가들의 해석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이 가장 직접적이고 위협적인 대응을 한 것”이라고 평했다. WP는 “세계의 외톨이 국가가 자위권을 언급한 것”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서 북한을 겨냥해 ‘완전 파괴’ 발언을 한 이후로 매일 긴장이 고조하는 국면이 조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리 외무상의 이날 언급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 이후 나온 북한의 반응 중 가장 직접적이고 위협적인 것이라고 평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북한 대표로서 1주일간의 유엔 총회 일정을 마무리하고 떠나는 자리에서 리 외무상의 발언이 대립을 격화시켰다고 전했다. NYT는 북한이 “영공이 아니더라도 미국 전략폭격기를 떨굴 권리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 부분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북한 지도부는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의 ‘완전 파괴’ 발언이 나왔을 때 이미 이를 선전포고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 같다”고 해석했다.

관련기사



블룸버그 통신은 리 외무상이 ‘영공 밖 격추 자위권 주장’을 했는데 이는 유엔 헌장에 근거를 둔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때까지는 가만히 있다가 전날 미군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국제공역 최북단까지 위협 비행을 하자 이런 발언을 내놓은 배경을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통신은 리 외무상의 발언 이후 국제 금값과 상대적 안전등급 통화인 엔화가 요동치고 있다고 전했다.

미 ABC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3일 트위터에서 리 외무상의 유엔 연설 내용에 대해 “리틀 로켓맨의 생각을 되읊은 것이라면 그들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한 발언에 대해 리 외무상이 이날 비슷한 구조의 언급을 통해 대응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했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