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지하철 적자, 90%는 무임승차 탓

인구 노령화에 무임승차객 늘어나…무임승차 손실액 3,623억 원

서울 지하철 1~9호선의 적자에서 무임승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서울경제DB서울 지하철 1~9호선의 적자에서 무임승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서울경제DB


서울 지하철 1~9호선의 적자에서 무임승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가 27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지하철 1~9호선의 당기순손실 3,917억 원 중 법정 무임승차 손실은 3,623억 원(92.5%)에 달했다. 노인 무임승차 비용이 2,887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 686억 원, 유공자 50억 원 순이었다.


지하철 적자에서 무임승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유독 지난해 가파르게 늘었다. 2012~2015년은 70~79%였으나 지난해에는 90%대를 처음 넘어섰다.

관련기사



서울시 관계자는 “2015년 6월 지하철 요금을 인상한 효과가 지난해 본격적으로 나타나 당기 순손실이 줄었다”며 “반면 고령 인구 증가와 도시철도 노선 확대로 무임승차 손실과 적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5년과 지난해를 견줘보면, 1년 새 당기순손실은 4,142억 원에서 225억 원 줄었고 무임승차 손실은 289억 원 증가했다. 한해 무임승객은 2억 6,300만 명에서 2억 6,800만 명으로 늘었다. 증가한 무임승객의 대부분은 고령자가 차지했다. /류승연 인턴기자 syryu@sedaily.com

류승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