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고물가에…8월 경제고통지수 6년만에 최고

추경호 의원실 분석

"소득주도 성장 명분 벗고 경제 구조개혁 올인해야"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고통을 나타내는 수치가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은 27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과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 물가와 실업률을 반영한 경제고통지수가 올 8월 6.2를 기록해 지난 2011년 8월(7.7)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815A08 경제고통지수 추이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국민이 겪는 경제적인 삶이 팍팍해진 것으로 본다.

관련기사



가계고통지수의 상승은 물가 상승의 영향이 컸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6%로 2012년 4월의 2.5% 이후 5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이 뛰었다. 실업률은 3.6%를 나타냈다.

월별 경제고통지수는 2012년 3월(6.4) 이후 하락세를 보여 오다가 올해 들어 6.0을 웃돌고 있다.

문제는 세계 경기가 둔화하는 가운데 최근 북한 도발에 따른 내부 리스크까지 더해져 가계 고통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 의원은 “지금 우리 경제는 성장률 저하, 물가 상승, 청년 실업률 상승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최고조에 이르면서 총체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선거공학적 관점의 포퓰리즘 정책을 남발하지 말고 미래 성장전략을 다듬어 경제구조개혁에 올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론적 근거도 불분명한 소득주도성장을 명분으로 경제의 발목을 잡지 말고 기업과 경제의 활력을 높이는 정책으로 하루빨리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