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토요와치]가족의 재구성-100가구 중 1.5가구는 다문화가정...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야

서울 송파구의 결혼이민여성들이 추석을 앞두고 송편을 만들고 있다. /사진제공=송파구서울 송파구의 결혼이민여성들이 추석을 앞두고 송편을 만들고 있다. /사진제공=송파구




지난 2007년 중국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장유산(35)씨는 자신을 한국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아직 그를 한국인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장씨는 얘기한다. 장씨는 “국적이 한국이 아니다 보니 각종 서류를 떼기도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며 “벌써 10년 넘게 가정을 꾸리고 아이도 낳고 사는데도 따뜻한 고향의 정은 느끼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문화가정은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차별과 편견은 여전히 남아 있고 정책적 지원도 부족하다. 인구절벽 속에 대한민국의 국력을 키워줄 수 있는 다문화가정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껴안기 위한 혁신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다문화가구는 31만6,067가구(96만3,174명)로 2012년 25만6.587가구에서 23.1%나 늘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를 기록했다. 다문화가정 출신 유치원과 초중고교 학생의 증가세는 더욱 가파르다. 교육부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2년 4만6,954명에서 지난해 9만9,186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다문화가정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들이 한국 생활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요소는 언어(34%), 외로움(33.6%), 경제적 문제(33.3%) 등의 순이었다. 편견과 차별을 꼽은 이도 16.1%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한 다문화가정을 구성원으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인식 개선과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먼저 다문화가정을 이방인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손태규 단국대 사회과학대학 교수는 “다문화가정을 껴안을 수 있는 홍보와 교육 등이 필요한 시기”라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언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의 질도 한 단계 높여야 한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서울의 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는 “다문화가정 수강생들이 한국어 교재를 비롯해 강의내용을 보강해달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며 “현재 한국어 교육 수준을 대학의 한국어학당 수준으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이질감으로 증폭될 수 있는 만큼 일상 속 변화도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관공서나 은행 업무를 볼 때의 복잡한 절차다. 일반인은 주민등록증만 제시하고 필요한 서류 등을 뗄 수 있지만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올해로 한국 생활 9년차인 일본인 니시무라 유코(36)씨는 “남편이 직장을 옮겨 건강보험에 변동이 생길 때 배우자는 자동 승계되지 않고 따로 등록 신청을 해야 한다”면서 “생활 속 작은 불편이지만 이런 현실을 마주할 때 ‘나는 한국인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고 털어놓았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