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10명 중 5명 "물가상승 주범은 농·축·수산물"



추석 명절을 앞두고 차례상 장보기가 겁난다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국민들이 생각하는 물가 상승의 주범은 누굴까. 30일 한국은행의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복수응답) 질문에 응답자의 51.4%가 농·축·수산물을 꼽았다.

이어 공업제품(40.1%), 공공요금(39.9%), 집세(30.7%), 개인서비스(21.5%) 등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19일 전국 도시의 2,200가구(응답 2,013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농·축·수산물 응답 비율은 지난 7월(45.8%)보다 5.6% 포인트 올랐고 두 달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작년까지 농·축·수산물 응답 비율은 대체로 10%대 후반에서 30% 중반으로 조사됐고 1년 전인 작년 9월에는 33.3%를 기록해 30%대를 유지하는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이번 조사에서 이례적으로 높은 결과를 기록한 것은 농·축·수산물 가격에 대한 가계의 부담이 매우 크다는 점을 방증한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올해 폭염 등으로 채솟값이 많이 오른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오징어가 1년 전보다 63.7% 급등했다. 토마토(35.9%), 양파(33.5%), 달걀(24.4%), 사과(15.0%), 돼지고기(6.9%)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앞서 8월 3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은 “당분간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가격 강세 지속 등의 영향으로 현 수준 정도의 오름세(2% 내외 수준)를 보일 전망”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