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가위에 다시본 문화재]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국보 제107호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사진제공=문화재청국보 제107호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사진제공=문화재청


동글동글 매달린 포도송이가 명절을 맞아 모여앉은 식구들처럼 알차고 정겹다.

탐스러운 포도 옆에 넝쿨마저 기품 있다. 넉넉한 포도나무 잎은 우아하기까지 하다. 조선 시대 철화백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예술품으로 평가받는 국보 제107호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다.


철을 산화시킨 결과 검은색을 띠게 된 철사 안료로 백자 표면에 포도무늬를 그렸는데 그 기량으로 봐 도화서 화원 화가의 솜씨임이 분명하다. 그 사실성이나 색의 농담, 붓질의 강약이 조화를 이뤄 18세기 백자의 높은 회화성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관련기사



조선의 궁중음식 전담 관청인 사옹원은 매년 소속 관리가 도화서 화원을 인솔해 경기도 광주의 관요로 가서 왕실 진상용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게 했다. 푸른색 안료를 사용한 청화자기가 비교적 많은 데 반해 붉은색 안료인 진사나 검은색의 철사를 사용한 자기는 상대적으로 적어 진귀하다. 항아리의 높이는 53.3㎝, 아가리지름 19.4cm, 밑지름 18.6cm로 큼직하다. 아랫부분부터 허리까지는 잘록하다가 몸통부터 어깨까지는 대범할 정도로 둥글게 팽창돼 당당함을 느끼게 한다. 넉넉한 상부에 포도송이를 사실적으로 표현했고 나머지 부분에는 아무것도 그리지 않은 채 여백의 미를 표현했다. 원숙함이 느껴지는 철사 안료의 색과 갓 짠 우유색의 백자 바탕이 잘 어울려 단아함을 보여준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