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경절 대목인데…발길 뜸한 中 관광객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 보복조치 여파로 급감한 유커(중국인 관광객) 수가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건국 기념일인 국경절(國慶節) 연휴가 시작됐으나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라 유커 수가 최근 5년 내 최저치를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법무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 중국인 입국자 수는 302만2,590명으로 작년 같은 시기(574만3,294명)보다 47.37% 크게 줄었다. 이 기간 한국계 중국인 입국은 50.98% 늘어난 데 반해 국내를 찾는 유커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그만큼 관광 등 목적으로 한국행(行)을 택하는 중국인 수가 줄어든 셈이다. 유커 수는 지난 2013년 446만5,201명에서 이듬해 627만4,730명으로늘었다. 지난해에는 826만8,262명까지 급증하면서 최근 3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중국 관광객 수가 급격히 늘면서 국내 면세점·숙박업계에 ‘유커 특수’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중국이 지난 3월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로 한국 단체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금지하면서 한때 기하급수적으로 늘던 유커 수가 말 그대로 반 토막 났다.


문제는 국내 관광업체 최대 대목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국경절 연휴에도 불구하고 유커 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중국 국경절 기간인 1~8일 사이 한국을 찾는 유커 수는 9만6,000여명으로 10만명에도 이르지 못할 전망이다. 이는 작년 국경절(10월 1~7일) 연휴 기간 입국한 유커 수(18만8,000명)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난해 국경절 중국인 관광객이 국내에 유발한 경제효과가 5,000억원을 넘는다는 한국관광공사의 조사대로라면, 올해는 같은 기간 2,500억원이 허공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관련기사



법무부 관계자는 “중국인 단체관광이 금지되기는 했으나 그나마 개별적으로 한국을 찾는 유커 수는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해결방안을 찾아보려고 하나 중국 당국이 개인 관광마저 규제할 수 있어 뾰족한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춘제·노동절과 함께 중국 3대 황금 연휴로 꼽히는 국경절을 맞아 유커의 한국행을 촉진한 해결방안을 마련하려고 해도 오히려 중국 당국을 자극해 추가 규제안만 나오게 할 수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