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화재 취약 전통시장, 화재 감시시스템 설치한다

대구 서문시장, 여수수산시장 대형 화재 잇달아

2022년까지 모든 전통시장에 설치

전통시장 화재공제 활성화

대형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전통시장에 화재감지시스템이 설치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말 대구 서문시장 화재, 올해 1월 여수 수산시장 화재 등 전통시장에서 잇달아 대형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2022년까지 전국 모든 시장에 화재감시시스템을 설치한다고 4일 밝혔다.


전통시장은 밀집형 구조, 전기·가스시설의 노후화 등 탓에 대규모 화재 발생 가능성이 크지만, 현재 화재감지시설이 설치된 곳은 30% 수준에 불과하다. 화재 진압 골든타임인 5분 이내에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신속한 진화를 하기 어려워 전통시장의 화재가 대형화하고 있다는 게 소방당국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이에 정부는 전국 전통시장의 13만 개 점포에 화재현장과 소방서 간 자동 통보가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화재감지시스템을 비치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3년마다 전체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화재 안전점검을 하고, 연간 200곳의 전통시장 노후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해 취약 시설 현대화 사업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전통시장 화재공제도 활성화한다. 전통시장 화재공제 가입비는 민영 손해보험보다 저렴하다. 가입금액 한도 내 손해액을 전액 보장하는 전통시장 전용 공제상품이다. 중기부는 올해 1만 명 수준인 화재공제 가입자를 2022년에는 6만 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