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스마트폰 중독자, 공감능력 떨어져"

서울성모병원 연구팀 발표

"상대방 표정 변화 탐지에 둔감"

스마트폰 중독자는 상대방의 표정 변화를 탐지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김대진 교수·전지원 박사팀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이같은 내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중독군(과사용군) 25명과 정상 사용군 27명을 대상으로 모니터 화면에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을 번갈아 보여주며 상대방의 표정 변화에 따른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관찰했다. 대화할 때 상대방의 표정 변화에 정상적으로 반응하는지를 보기 위해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정서가 반복적으로 제시될 때보다 기쁨에서 분노 등으로 정서가 바뀔 때 뇌의 인지조절이 더 많이 필요하다.


관찰 결과 스마트폰 중독군은 뇌기능 MRI 영상에서 상대방의 화난 얼굴과 감정전환에 노출됐을 때 갈등을 탐지하고 반응하는 전두엽과 대뇌 피질이 정상 사용군에 비해 덜 활성화됐다. 이는 인지조절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떨어짐을 뜻한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얼굴을 마주보는 사람과의 대화에 집중하지 못하고 끊임 없이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거나 문자메시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상호작용하려는 성향이 큰 스마트폰 중독자들의 현상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전 박사는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 사용군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뇌 부위 활성화 정도를 비교,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며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의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