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백브리핑]금호타이어 보고 한숨 돌린 성동조선?

내년 정치일정에 존속결정 기대감

당국도 청산 여부 등 놓고 고심중

금호타이어가 채권단 자율협약을 통해 회생 발판을 마련하면서 성동조선해양 등 생사를 앞둔 중소 조선사들이 일단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성동조선에 대한 구조조정 방향 역시 금호타이어와 비슷하게 굴러가는 게 아니냐는 기대감 때문이다.


성동조선은 수출입은행이 내부 실사 중으로 늦어도 다음달께 존속이냐, 청산이냐가 결정될 예정이지만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규모 감원이 불가피한 청산 결정을 내리기가 쉽겠느냐는 것이다. 또 성동조선 주채권자인 수출입은행 은성수 행장 역시 “일자리를 유지하며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밝힌 만큼 성동조선도 자율협약을 통한 정상화에 무게가 실리는 게 아니냐는 분위기도 없지 않다.

관련기사



금융당국도 고심이 되기는 마찬가지다. 대우조선해양의 추가 지원 논란도 따지고 보면 조선 업황에 대한 전망치 차이 때문에 발생한 것인데 글로벌 업체의 전망치도 틀릴 수 있는 마당에 이를 어떻게 반영해야 논란을 최소화할지 걱정이다. 미래 업황이 나쁘다고 해서 청산을 했다가 호황이 되거나, 아니면 호황을 전망해 존속을 시켰다가 반대의 경우가 생기면 애꿎은 금융당국이 또 책임을 뒤집어써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어서다. 일부에서는 성동조선 등 구조조정을 앞둔 노조가 먼저 임금 삭감 등 추가 자구노력을 통해 채권단 지원에 대한 책임 논란을 덜어주는 것이 오히려 신속한 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