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종합] “아름답고 잔혹하다”…‘미옥’ 김혜수이기에 가능한 느와르

배우 김혜수가 한국 액션 영화에 당당히 한 획을 긋는다. 이전까지 보여주지 않았던 새로운 캐릭터를 통해 아름다우면서도 잔혹한 여성 액션의 진수를 선보일 예정이다.

영화 ‘미옥’(감독 이안규) 제작보고회가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신사동 CGV 압구정에서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이안규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혜수, 이선균, 이희준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나눴다.




배우 김혜수가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에서 열린 영화 ’미옥(감독 이안규) 제작보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조은정 기자배우 김혜수가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에서 열린 영화 ’미옥(감독 이안규) 제작보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조은정 기자


‘미옥’은 범죄조직을 재계 유력 기업으로 키워낸 2인자 현정과 그를 위해 조직의 해결사가 된 상훈, 출세를 눈앞에 두고 이들에게 덜미를 잡힌 최검사까지, 벼랑 끝에서 마지막 기회를 잡은 세 사람의 물고 물리는 전쟁을 그린 느와르다.

이안규 감독은 “시나리오를 쓰다가 지쳤을 때 느와르를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보니 수도 없이 멋진 남자 캐릭터가 나온다. 그런데 팜므파탈이나 톰보이같은 주변 여성 인물이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것을 보면서 문득 장르 안에 있는 서브플롯을 메인플롯으로 가져오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기획 계기를 밝혔다.

이어 “남자 장르로 표방되는 느와르 안에 여성을 던져 놓으면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일차원적인 생각이었다. 멋진 남자를 많이 봤으니 멋진 여자를 보고 싶다는 단순한 출발이었다. 사실은 아무 생각 없이 시나리오를 썼다. 그렇게 다 쓰고 나니까 혜수 선배님밖에 시나리오를 드릴 분이 없더라”라고 설명했다.

김혜수는 ‘미옥’을 통해 잔인하면서도 아름다운 액션 연기를 선보인다. 독보적인 카리스마를 지닌 현정을 연기한 것. 이에 대해 김혜수는 “나현정은 조직에서 음지의 일을 성장시키면서 조직을 키워간다. 비밀스럽고 음험한 일을 한다. 굉장히 차갑게 보이지만 속에는 불덩이같은 욕망이 있다. 차가움과 뜨거움이 공존하는 여자다”라고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시나리오를 보면서 부담스럽다는 생각은 안 했다. 우선 재미있었다. 전체 느낌이 느와르라는 것이 시나리오에서 읽히기는 하지만 그 안에 있는 인물들의 욕망과 관계에 대한 이야기 자체에 흥미를 많이 느꼈다”고 작품을 선택한 계기를 전했다.


이선균은 상훈 역을 맡아 감춰둔 야수 본능을 아낌없이 드러낼 예정이다. 그는 “이번 영화를 하게 된 이유는 장르에 대한 목마름 때문이었다. 이런 장르가 잘 안 들어와서 들어올 때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항상 억울하게 당하고 맞는 역을 맡았는데 이번에는 때리고 억울한 표정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느와르이지만 멜로라고 생각하고 촬영을 했다”며 “상훈이라는 역할이 고아로 자라서 결핍이 있는 친구다. 어릴 때 조직 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현정과 함께 했다. 그가 베푼 호의를 혼자만의 사랑으로 키워갔다. 외사랑을 크게 느끼면서 혼자 배신감을 느낀다”고 김혜수와의 극 중 관계를 설명했다.

배우 이희준, 김혜수, 이선균이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에서 열린 영화 ’미옥(감독 이안규) 제작보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조은정 기자배우 이희준, 김혜수, 이선균이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에서 열린 영화 ’미옥(감독 이안규) 제작보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조은정 기자


권력과 야망에 눈이 먼 최검사로 분한 이희준은 “검사와 조직폭력배는 직업상 검사가 더 선인데 여기서는 누가 더 좋고 나쁘다고 말할 수 없는 상태까지 간다”며 “김혜수 선배님이 남자도 하기 힘든 액션을 소화하시느라 체력적으로 많이 힘드셨을 거다. 저도 함께 액션을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마음이 아팠다”고 유쾌하게 덧붙였다.

많은 수의 한국 영화, 특히 장르물에서 여성이 원톱 자리를 차지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그런 가운데 ‘미옥’은 김혜수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액션 영화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이안규 감독은 “마초성으로 대표되는 장르 안에 여성 인물이 들어왔다. 여성 인물에서 팜므파탈, 톰보이적 성향을 배제하다보니 캐릭터나 이야기의 결이 섬세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앞으로도 어떤 장르 안에 생경한 인물을 던져보면 재미있는 아이템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새로운 시도의 의미를 짚었다.

김혜수는 남성 영화에 비해 여성 중심 영화가 적은 현실에 “한국에서만의 문제는 아니다. 여성이 독단적으로 극을 장악하는 콘텐츠가 굉장히 적다. 이런 영화들이 가열 차게 나와 주고 단지 시스템의 탓으로만 치부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많은 것들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고 소신을 드러냈다.

이어 “최근 문소리 씨가 배우로서 겪는 실상을 자기의 목소리를 담아 굉장히 잘 표현했다. 그런 시도들이 굉장히 소중하다. 오래간만에 느와르가 나왔다, 이전까지 남성의 영화를 뛰어넘어야만 존재 가치가 있다는 시각보다는 이런 시도에서 가능성을 발견하고 관객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미옥’은 세계 4대 장르 영화제인 시체스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오르비타 부문에 초청됐다. 이 외에도 제37회 하와이 국제 영화제, 제2회 런던 동아시아 영화제를 통해 한국형 장르 액션의 진수를 보여줄 전망이다. 오는 11월 9일 개봉.

/서경스타 양지연기자 sestar@sedaily.com

양지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