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행복한 노후 보내려면…기대수명과 행복수명이 차이나는 이유

한국, 행복수명 가장 낮고 기대수명과 차이도 커

치료비 지출도 많아 안정적인 노후소득원 필요

노후준비가 제대로 안 될 경우 우리나라 국민은 생애 마지막 8년을 불행하게 보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10일 나왔다./연합뉴스노후준비가 제대로 안 될 경우 우리나라 국민은 생애 마지막 8년을 불행하게 보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10일 나왔다./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기간보다 기대 수명이 더 길어 노후준비가 부족할 경우 생애 마지막 8년을 불행하게 보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영국 등 5개국을 대상으로 20~50대 경제활동인구 1,000명씩을 각각 조사한 ‘행복수명 국제비교’ 연구결과를 10일 발표했다. 행복수명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연구소가 지난해 공동 개발한 노후준비 측정 지표다. 행복수명은 건강, 경제적 안정, 사회적 활동, 원만한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행복수명은 74.6세로 조사 대상 5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독일이 77.6세로 1위에 올랐다. 영국·미국(76.6세), 일본(75.3세)이 순서대로 뒤를 이었다. 행복수명과 기대수명 간 차이도 우리나라는 8.5년으로 일본(9.5년) 다음으로 가장 컸다. 노후준비가 부족할 경우 건강, 경제적 안정, 사회적 활동, 원만한 인간관계 등 영역에서 생애 마지막 8.5년을 불행하게 살 수도 있다는 의미다.

특히 우리나라는 69.3%가 기대수명보다 행복수명이 5년 이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우리나라가 다른 국가에 비해 노후준비에 취약한 계층이 많아 삶의 질을 놓고 봤을 때 노후에 양극화가 심해질 것을 우려했다. 영국(5.7년), 미국(4.3년), 독일(4.2년) 등 서구권 국가는 두 수명 사이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영역별 수치를 보면 우리나라는 건강수명이 73.6세(4위), 경제수명 77.0세(4위), 활동수명 72.5세(5위), 관계수명은 75.2세(5위)로 전반적으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모든 국가에서 노후에 행복하게 살기 위해선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노후를 위해 경제적인 준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우리나라가 가장 많았지만 경제수명과 기대수명 간 차이는 6.1년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은퇴자산 특성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같은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부동산 자산(1위)이 많았다. 노후대비 금융자산(5위)과 연금 수령액(5위)은 부족했다.

노후에 예상되는 치료비와 간병비 예상 지출액이 1만 5,000달러로 미국(1만 8,000달러) 다음으로 많아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사이 차이는 우리나라가 9.5년으로 일본(11.9년) 다음으로 컸다. 서구권 국가와 비교해 기대수명은 길지만 건강관리 계획이 부족하고 건강상태 만족도도 낮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독일(3.3년), 미국(3.4년), 영국(5.6년)은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았다.

`연구를 진행한 최현자 서울대 교수는 “한국은 5개국 가운데 행복수명이 가장 짧고 모든 영역에서 노후준비 상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금융·연금자산을 늘려 안정적인 노후소득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