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립대 입학금 14%만 관련업무 용도로 사용

교육부 80곳 실태조사

대학 입학금 폐지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사립대학들의 입학금 중 입학 업무와 관련된 용도로 사용되는 비중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10일 전국 4년제 사립대의 입학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입학금 중 입학 관련 운영비 지출은 1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는 156개 사립대 중 80곳이 참여했다.


분석 결과 조사에 응한 대학들의 전체 입학금 가운데 가장 많은 33.4%가 운영비(입학 외 일반사용)로 쓰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신·편입생 장학금 등이 20.0%였고 홍보비는 14.3%를 차지했다. 입학 관련 운영비는 전체의 네 번째인 14.2%였고 학생 지원경비(8.7%), 행사비(5.0%), 인쇄출판비(0.9%)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입학 실비용의 인정 기준 및 단계적 감축 방안을 사립대학과 협의를 통해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13일 전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단 소속 대학 기획처장 20여명과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입학금 폐지가 국민의 염원인 만큼 입학 절차에 실제 사용하지 않는 비용의 징수는 국민적 지지를 받기 어렵다는 점을 사립대학이 충분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