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대부업체 뺨치는 고금리 리볼빙...카드사 상반기만 4,600억 벌어

위험성 높아 채무덫 빠질 우려

신용등급 하락 등 피해 알려야



금융감독원이 원가 중복 산정 등 카드 업계의 고금리 관행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올 상반기 국내 카드사들이 대표적인 고금리 상품인 리볼빙(일부 결제금액 이월 약정)을 통해 4,600억원의 이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감원이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8개 카드사는 지난해 리볼빙으로 4,631억원의 판매 순익을 기록했다.

리볼빙이란 전월의 카드 사용액 가운데 5~10%만 갚고 나머지 금액은 일정한 수수료를 내고 상환을 미루는 대신 연 20%대 후반의 높은 이자를 물어야 하는 결제 방식이다.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카드의 리볼빙 이익은 1,154억원으로 카드사 중 가장 높은 실적을 올렸다. 국민카드의 경우 상반기 영업이익의 약 7%를 리볼빙이 차지했다. 국민카드의 이 같은 실적 배경에는 고금리가 자리하고 있다.


국민카드의 경우 현금서비스 리볼빙의 금리는 22.65%, 카드 이용액에 대한 결제성 리볼빙인 신용판매 리볼빙은 18.45%로 8개 카드사 가운데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높다. 리볼빙 잔액 보유 회원 수도 국민카드가 가장 많다. 국민카드의 회원 수는 55만7,246명에 달한다. 현대카드는 944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고 신한카드(772억원), 삼성카드(722억원)가 뒤를 이었다. 리볼빙 이익은 잔액보유 회원 수와 비슷하다. 실제 리볼딩 회원 수도 현대카드(42만4,262명), 삼성카드(36만939명), 신한카드(31만1,577명) 순이다.

관련기사



카드사들이 리볼빙에 목을 매는 것은 고금리를 통해 비교적 손쉽게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어서다. 특히 사용금액 상환을 미룰 수 있어 연체 발생도 막아 전체적인 카드 연체율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고금리에 따르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연 5~20%대의 이자가 적용돼 고객의 상환 부담이 큰데다 고객 신용등급에도 악영향을 줘 고금리 대출 악순환이 될 수 있어서다. 일부에서는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고객에게 리볼빙 서비스를 통해 일단 소비를 일으키고 보자는 식이어서 의도와 달리 ‘악성 가계부채’를 늘릴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5년 8개 카드사의 리볼빙 불완전판매에 대한 현장검사를 벌이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펴고 있지만 고객들이 ‘자유결제 서비스’ ‘회전 서비스’ 등으로 포장된 리볼빙의 위험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은 끊이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리볼빙을 이용할 경우 고금리로 인한 피해와 신용등급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히 고지될 수 있도록 금감원에 제도 개선을 주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원·조권형기자 joowonmail@sedaily.com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