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복지시설·어린이집·의료기관 종사자 30~18%가 '잠복결핵'

복지부·질병관리본부 검진사업

국민 33%·40~60대는 절반 추정

약 먹으면 발병 90% 이상 예방

남인순 의원 "치료·검사비 지원을"

*자료: 남인순 의원실(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자료: 남인순 의원실(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사회복지시설·어린이집·의료기관 종사자 가운데 30~18%(평균 22%)가 잠복결핵 감염자로 확인됐다.


또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잠복결핵 상태인 것으로 추정됐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됐지만 결핵이 발병(활동성 결핵)하지 않은 상태로 별다른 증상이나 전염력이 없다. 하지만 향후 면역력이 약해지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확률이 10%가량 된다. 1세 미만 영아는 진행 확률이 40~50%나 돼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11일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잠복결핵 검진대상 사회복지시설·어린이집·의료기관 종사자 38만명 가운데 8월말까지 약 30만명이 검진을 받았으며 수검자 중 21.8%인 6만5,037명이 잠복결핵 감염자(양성자)로 확인됐다.


종사자 잠복결핵 감염율은 사회복지시설이 29.5%로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20.2%, 의료기관 18.4% 순이었다. 병역판정대상자는 2.9%, 고등학교 1학년은 2.3%가 감염자였다.

관련기사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결핵균 집단감염 사고예방을 위해 이들에 대한 잠복결핵 검진사업을 하고 있다. 검진 대상자가 잠복결핵 감염자로 확인되면 본인의 동의를 받아 일단 3개월 정도 두 가지 항결핵약을 복용하는 치료를 한다. 꾸준히 복용하면 결핵 발병을 90% 이상 예방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전국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 중 2,051명을 표본으로 실시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에서는 33.2%가 잠복결핵 감염자였다.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잠복결핵에 감염된 셈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 46.1%, 50대 48.7%, 60대 45.0% 등 40대 이상의 잠복결핵 감염률이 매우 높았다. 20대 10.9%, 10대 6.5% 등 저연령층의 감염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남인순 의원은 “잠복결핵 감염율이 33.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고위험군 검진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고 양성자(감염자)에 대해서는 치료비, 부작용 발생 시 관련 검사비 등을 지원해 조기 발견·치료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결핵발생률은 1위다. 2015년 기준 10만명당 결핵발생률은 80명, 결핵사망률은 5.2명으로 OECD 평균(11.4명, 1.0명)의 7배, 5배가 넘는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