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北, 개성공단 시설 무단으로 사용…시설물 점검차 방북 승인해달라"

개성공단기업協 방북 신청키로

"정부, 보상대책 즉각 마련해야"

신한용 비대위 공동위원장신한용 비대위 공동위원장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북한 측의 개성공단 시설 무단 사용 즉각 중단을 촉구하면서 시설물 확인을 위해 우리 정부에 방북을 신청하기로 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대외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와 ‘메아리’를 통해 ‘개성공업지구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당당한 모습’을 언급하며 “공장들은 더욱 힘차게 돌아갈 것”이라고 밝혀 개성공단 재가동을 시사했다.


신한용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개성공단 투자자산은 우리 기업의 자산이므로 북한은 무단 사용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남북 양 당국은 입주기업이 개성공단 무단 가동의 진위를 확인하고 시설물 유지관리, 보존대책 마련을 위해 공단에 방북할 수 있도록 승인하고 협조해야 할 것”이라며 강한 어조로 촉구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는 지난 정부의 불법적인 개성공단 폐쇄조치 과정을 투명하게 밝혀주고 공단 폐쇄로 생존 위기에 처한 입주기업과 5,000여 협력업체가 입은 막대한 피해에 대한 정당한 보상대책을 즉각 마련하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개성공단은 잇따른 북한의 도발 조치에 대한 정부 대응 차원에서 지난해 2월 10일 가동이 전격 중단됐다. 공단 내 기업과 정부 자산은 약 9,2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김학권 공동위원장은 “지난 정부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보상금을 지급했다고 약속하지만 대부분은 채권단이 회수해 갔고 실제 기업으로 유입된 자금은 없다”며 “보상금 산정을 위한 정부 측의 평가도 자산액 대비 50~60% 밖에 되지 않아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방북을 승인하더라도 북한 측의 협조 없이는 공단 방문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에 대해 신 위원장은 “정치와 별개로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북한과 미국간에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우리 측의 요구가 받아 들여질 지는 알 수 없지만 과거에도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될 때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경제인이라도 방북을 신청했던 사례가 있다”며 “작은 희망이라도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