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노동 유연·안전성 부족...해법은 노사정 대타협뿐"

유길상 교수 한반도선진화재단 세미나서 노동시장 효율성 강조



“노동 유연·안전성 부족이 국내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노사정 대타협 없이는 이를 풀 수 없습니다.”

유길상(사진) 한국기술교육대 인력개발전문대학원 교수는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반도선진화재단 주최 ‘노동유연안전성을 위한 대타협전략’ 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유 교수는 “노동시장의 효율성과 노사관계의 경쟁력이 낮으면 기업의 고용 기피로 이어진다”며 “좋은 일자리 창출이 어렵고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정부 주도형 노동시장 개혁 추진에 한계가 있고 노동시장의 누적된 문제점을 해소하지 않고는 고용 위기 극복이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실제로 한국의 노동시장 효율성은 세계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발표한 ‘글로벌 경쟁력 보고서’에서 한국의 노동시장 효율성은 조사 대상 137개국 중 73위에 그쳤다. 임금 유연성은 62위, 채용과 해고 관행은 88위, 잉여 인력 고용조정 비용은 112위다.

관련기사



유 교수는 “노동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미흡한 상태에서 정부의 노동정책이 수시로 변경돼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기업의 안정적인 투자 및 일자리 창출을 저해한다”며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 없이는 일자리 문제 해결이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노동 유연·안전성 강화는 노사정 간 대타협 외에 해법이 없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덴마크 유연·안전성 모형의 3대 핵심축인 유연한 노동시장, 관대한 실업급여,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등의 삼각형 구조를 한국의 현실에 맞게 수정 보완해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유 교수는 “노동 유연·안전성은 이미 선진국의 공통된 처방”이라고 주장했다.

유 교수는 특히 “노사정위원회를 통한 논의의 틀을 중심으로 하되 이에 얽매이지 말고 다차원 논의의 틀을 마련해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