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소년 알코올 중독 5년간 7,800명...13살 때 첫 음주

알코올 중독 청소년 5년간 25% 증가

음주대책 미비…예산도 턱없이 부족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광수 국민의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대 알코올중독 환자는 최근 5년간 알코올중독으로 치료받은 10~19세 청소년 환자 수가 총 7,800명에 달했다. /연합뉴스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광수 국민의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대 알코올중독 환자는 최근 5년간 알코올중독으로 치료받은 10~19세 청소년 환자 수가 총 7,800명에 달했다. /연합뉴스


최근 5년간 알코올중독으로 치료받은 10~19세 청소년 환자 수가 총 7,800명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 기간 증가 폭은 25%에 달해 청소년 음주 예방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광수 국민의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대 알코올중독 환자는 2012년 1,415명, 2013년 1,304명, 2014년 1,588명, 2015년 1,726명, 2016년 1,767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 청소년의 알코올중독 증가 폭이 컸다. 10대 여성 알코올중독 환자는 2012년 590명에서 2016년 761명으로 29%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대 남성 청소년 알코올중독 환자는 825명에서 1,006명으로 22% 늘었다.


지난해 기준 청소년 연간 음주율은 15%, 첫 음주 경험을 한 나이는 13.2세로 조사됐다. 연간 음주율은 최근 30일 동안 한잔 이상의 술을 마신 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식약처의 상반기 주류 소비·섭취 실태조사 결과 음주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29.2%는 ‘고위험 음주’ 경험이 있었다. 고위험 음주는 소주를 기준으로 남성은 8.8잔 이상, 여성은 5.9잔 이상 음용한 경우를 칭한다. 음주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주류를 섞어 마시는 폭탄주를 마신 적이 있다는 경우도 37.5%에 달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의원실은 상황이 이러한 데도 예방 프로그램 등에 들이는 정부의 예산과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흡연 예방 및 절주 사업을 맡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흡연 관련 부서는 4개 팀 총 직원 29명인데 반해 음주 관련 부서는 1개 팀 9명에 불과하다. 또 2014~2017 금연 관련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232억원인 반면 음주 관련 사업은 13억원으로 턱없이 적었다.

김광수 의원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청소년층 알코올중독 환자 증가세가 큰 폭으로 높아지고 있다”며 “청소년 음주 예방 및 올바른 음주문화 교육을 위한 인력과 예산을 확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