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2017 국정감사]‘술 공화국’...주세 10년간 30조원 육박



지난 10년간 주류에 붙은 세금이 총 28조 3,566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의 ‘주류 출고량 및 과세표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7~2016년 연평균 주세는 2조 8,356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세는 2007년 2조 5,227억원에서 2014년 3조원을 돌파했으며 지난해 역대 최대치인 3조 2,375억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이 중 맥주가 차지하는 비중이 46.7%로 가장 높았다. 맥주는 지난 10년간 전체 주세의 절반에 가까운 13조 2,372억원을 기록했으며 희석식 소주가 10조 3,568억원(36.5%)으로 뒤를 이었다.

또 △수입분 3조 1,954억원(11.3%) △위스키 4,456억원(1.57%) △과실주 2,628억원(0.93%) △탁주 1,692억원(0.6%)으로 조사됐다.

가장 급격한 증가폭을 기록한 것은 수입분으로 10년간 2,605억원에서 4,471억원으로 71.6% 급증했다. 희석식 소주와 맥주도 각각 33.6%(9,073억원→1조 2,120억원)와 26.5%(1조 1,241억원→1조 4,221억원)로 증가했다. 반면 위스키는 1,170억원에서 지난해 110억원으로 급격히 줄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